Quantcast
Channel: 위기주부의 미국 여행과 생활 V2
Viewing all 77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레고 75192 스타워즈 밀레니엄팔콘 (LEGO 75192 Star Wars Millennium Falcon)

$
0
0

사람이 어떤 장소나 물건에 '필(feel)이 팍 꽂히는' 경우가 있는데, 지금으로부터 10여년 전... LA 동쪽 온타리오 아울렛의 레고스토어를 처음 방문했던 위기주부가 그랬었다~ (지난 달의 콜로라도 준국립공원 여행기와 서두가 너무 비슷한 듯^^)


쇼핑몰의 정식 이름은 온타리오밀(Ontario Mills)이지만 모두가 온타리오 아울렛이라 부르는 곳에 있는 레고스토어(LEGO Store)의 사진을 인터넷에서 가져왔다. (쇼핑몰 소개 포스팅을 클릭해서 보실 수 있는데, 레고스토어를 찍은 사진은 없음)미국에 온 지 얼마 안된 2008년초에 위기주부가 여기를 처음 방문했을 때, 아래의 제품이 조립되어 전시가 되어있는 것을 처음 보고는 그냥 필이 팍 꽂혔던 것이었다~


2007년에 출시된 제품번호 10179, ULTIMATE COLLECTOR'S MILLENNIUM FALCON™ 이었다! 출시 당시에 5,000 조각이 넘어서 가장 부품이 많은 레고셋트로 유명했고, 무엇보다도 정가가 $499.99였는데 단종된 후에 이베이(eBay) 등에서 6배인 $3,000에 거래가 되었던 소위 '레테크'의 전설이었던 제품이다. 물론 당시에는 가게에 재고도 없었고, 온라인으로 구매할 엄두도 내지 않았었다...


대신에 (아빠가 꼬셔서^^) 지혜의 생일선물 등으로 스펀지밥과 다른 레고 제품을 이 때쯤에 몇 개 구입을 했었던 기억이다. 2008년말에 레고를 만드는 지혜 모습의 위 사진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포스팅 마지막에 10179 제품을 언급해놓은 것을 보실 수 있다.


그리고는 2011년에 레고랜드 놀이공원을 방문해서 스타워즈 미니랜드(Star Wars Miniland)에서 (포스팅을 보시려면 클릭), 거대하지만 볼품없이 만들어진 밀레니엄팔콘을 보면서 마지막으로 그 제품을 떠올리고는 거의 잊어버리고 지냈던 것 같다. 그리고는 시간이 흘러 작년 2018년초에... (늘 그렇듯이 또 감상에 젖어 지금까지는 추억소환^^)


우연히 방문한 웨스트필드 토팡가(Westfield Topanga) 쇼핑몰의 레고스토어에서 우리는 다시 만나고 말았던 것이었따! 훨씬 더 정교한 이 제품은 2017년에 <스타워즈: 라스트제다이> 영화개봉에 맞춰서 완전히 새로 설계해서 출시된 제품번호 75192 밀레니엄팔콘(Millennium Falcon)으로 7,541 조각을 맞춰야 하는 것이었다. 당시 바로 직원에게 물어보니 품절... 온라인에서 찾아봐도 역시 sold out... 그렇게 또 우리는 인연이 아닌가봐 생각하며 몇 달이 지났다.


.....


11월말 추수감사절 연휴 주말에 연간회원권으로 방문한 유니버셜스튜디오에서 놀이기구를 타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며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데,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레고사이트에서 75192를 정가로 판매하고있지 않은가! 언제 매진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그 자리에서 제가를 받고 온라인 구매를 했는데, 위기주부 생애에 지금까지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영원히 이런 '지름신 충동구매'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는 몇 일이 지나서 우리집으로 엄청난 부피와 무게의 박스가 배달되었다.


소포박스 속의 포장박스를 또 열어야만 등장했던 레고 75192 스타워즈 밀레니엄팔콘 (LEGO 75192 Star Wars Millennium Falcon) 박스 사진만 페이스북에 올리고는 감히 더 열어보지 못하고 거의 2주 동안 박스만 감상하며 고민을 했다... "이대로 보관했다가 단종되면 신품으로 팔아서 레테크를 할까?""그래도 샀는데 조립은 했다가 다시 분해보관?"결국은 위기주부도 조립 동영상을 만들어서 유튜브에 한 번 올려보기로 하고! 박스를 열었다. 두둥~


박스를 열면 494 페이지나 되는 커다란 스케치북같은 엄청나게 무거운 조립설명서가 나오고, 그 아래에 4개로 나누어진 하얀 박스안에 17 조립단계로 구분되어 비닐에 부품들이 들어있었는데, 위의 동영상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박스를 여는 모습과 뼈대(1단계) 및 다리(2단계)까지 조립이 되는 모습을 스톱모션으로 모두 보실 수 있다.


Chad's LEGO라고 유튜브 채널을 만들어서 그 다음 스텝들도 모두 동영상을 만들어 올릴까 했으나... 카메라 신경쓰면서 조립하는게 힘든 것은 물론이고 스톱모션으로 편집하는 시간도 엄청 들어서, 어차피 구독자(subscriber)가 1,000명이 넘을 가능성도 없어서 그냥 끝까지 조립을 해서 완성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위의 사진이나 여기를 클릭해서 구독하기 눌러주시면 감사^^)


완성된 위의 모습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3단계부터 마지막 17단계까지의 '덩어리'들이 차례로 추가되어서 밀레니엄팔콘이 완성되는 모습을 스타워즈 리믹스 배경음악과 함게 스톱모션 비디오로 보실 수 있다.유튜브에서 'LEGO 75192'로 검색하면 레고조립이 직업인 전문가들이 올린 동영상과 리뷰들을 보실 수 있으므로, 따로 제품사진을 직접 찍어서 구석구석 소개는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칭 스타워즈 왕팬인 위기주부가 그냥 "다 만들었다!"로 포스팅을 끝낼 수는 없으므로, 이 제품의 깨알같은 디테일 두 가지만 소개를 한다.


75129 밀레니엄팔콘에는 총 7개의 미니피규어(minifigure)가 있는데, 먼저 클래식 에피소드 4~6에 등장하는 젊은 한솔로(Han Solo), 레이아 공주(Princess Leia), 츄바카(Chewbacca) 그리고 위의 장면에서는 우주선 안에 있는 C-3PO가 있다. 사진에서 레이아 공주를 위협하는 우주 공간에 사는 박쥐같은 실리콘 생명체인 마이낙(Mynock)도 한 마리 들어있는데, 여기를 클릭하시면 영화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에서 등장하는 저 장면과 밀레니엄팔콘의 내부 모습 등을 유튜브에서 보실 수 있다.


그리고 수 십년이 흘러서 에피소드 7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 등장하는 백발 뒷모습의 늙은 한솔로와 레이(Rey), 핀(Finn) 그리고 귀여운 BB-8이 보인다. 역시 이 사진에는 없지만 에피소드 8에서 밀레니엄팔콘에 탑승하는 귀여운 포그(Porg)도 두 마리 들어있다. 사진 가운데에 있는 동그란 테이블은 밀레니엄팔콘이 등장하는 에피소드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홀로그램 체스인 데자릭(Dejarik) 게임판이다. 이렇게 75129는 10년전의 10179에 비해서 우주선의 외부는 물론 내부까지도 완벽하게 재현을 한 그야말로 '명품'이었다.


"자~ 이제 어떡한다?"완성하고도 몇 주째 하얀 종이를 깐 교자상 위에 그대로 올려져 있는 밀레니엄팔콘~ 거실에 마땅히 전시할 장소도 없고, 전시한다고 해도 스토어에 있던 유리상자같은 것에 넣어두지 않는다면 구석구석 먼지가 쌓일텐데... (혹시 누구 조립된 상태로 구입하실 분? 조립비는 안 받음^^) 아니면, 다시 하나하나 모두 분리해서 박스로 보관할까? (Chad's LEGO 유튜브 채널 구독자 100명 되면 '분해 동영상'을 찍어볼까 생각중)무엇보다도 문제는 빨리 품절되기를 바라면서 구입한 이 제품이... 몇 달이 지난 아직도 레고사이트(클릭!)와 아마존 등에서 계속 정가에 판매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 위기주부를 슬프게 한다.^^




블랙캐년(Black Canyon) 국립공원 뷰포인트들을 구경하고, 다시 록키산맥을 넘어 콜로라도 동쪽으로

$
0
0

미서부 내륙의 콜로라도(Colorado) 주에는 4개의 내셔널파크(National Park)가 있는데, 남서쪽 귀퉁이에 있는 유적지인 메사버디(Mesa Verde) 국립공원2010년 '그랜드서클(Grand Circle)' 여행에서 방문을 했었다. 남은 3곳을 언제 가볼 수 있을까 늘 고민했었는데, 이번 여행에서 록키산맥(Rocky Mountain)과 여기 블랙캐년(Black Canyon)을 방문하게 된 것이다.


(블랙캐년에 대한 소개와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서 전편을 보시면 됨) Cross Fissures View, Rock Point 그리고 Devils Lookout의 3개의 뷰포인트가 나란히 있었는데, 그 중에서 여기 크로스피셔(Cross Fissures)만 들리기로 한 이유는 도로에서 걷는 거리가 가장 짧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피셔(fissure)'라는 영어단어는 정말 태어나서 처음 들어봤는데, 지각 깊이 갈라진 기다란 틈을 의미한단다.


땅이 갈라진 틈 앞에서 조금 전에 찍은 가족사진을 보며 즐겁게 웃고있는 모녀~ 어떤 사진인고 하니...


이 중의 한 장인 것 같다.^^


다시 차를 타고 이동한 전망대는 캐즘뷰(Chasm View)로 말 그대로 협곡이 가장 깊고 좁게 갈라진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인데, 지금 좌우로 보이는 남북 절벽끝 사이의 직선거리는 채 500m가 되지 않는다.


절벽끝의 전망대에서 서있는 모녀를 계곡 바닥과 함께 찍어보려고 했지만, 일반 렌즈로는 한 화면에 담기지가 않았다.


전망대 바닥 위로 올라온 바위가 있어서, 그 위에 서서 상류쪽 계곡을 배경으로 다시 사진 한 장 찍고는, 바로 옆에 위치한 이 국립공원에서 가장 유명한 바위절벽이 보이는 곳으로 또 이동을 했다.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하시면, 앞서 소개한 두 뷰포인트에서 찍은 영상과 함께, 비디오 뒷부분에서는 여기 블랙캐년 국립공원의 하이라이트 장면을 찾아서 걸어가는 롱테이크 영상을 현장감있게 보실 수 있다.


높이가 2,300 피트로 딱 700m나 되는 페인티드월(Painted Wall)은 콜로라도 주를 통틀어서 가장 높은 절벽으로, 그림처럼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을 강바닥에 세운다면 꼭대기가 중간을 겨우 넘긴다고 한다.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보기를 하시면 안내판 내용을 직접 읽으실 수 있음)


검은색 수직의 거대한 절벽에 나타난 하얀 선들은 누가 페인트로 그린 것은 아니고(^^), 십수억년 전에 깊은 땅 속에서 검은 변성암이 만들어질 때에 용암(molten rock)이 침투해서 만들어진 무늬라고 한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그 흰색의 무늬들 중에서 특이하게 눈에 띄던 모습인데, 위기주부 눈에는 왠지 해골로 보이는 듯...


아내가 스마트폰으로 찍어준 지혜의 사진인데, 왠지 합성사진같은 느낌이다~ (합성사진으로 오해를 받았던 포스팅 클릭!)


깊이 700 미터의 협곡을 따라 서쪽으로 흘러가는 거니슨 강(Gunnison River)을 세로로 찍어보았는데, 오른쪽 아래 강가 모래톱에 빨간 점이 보여서 카메라의 줌을 당겨서 확대해보니...


맙소사~ 텐트다! 빨간 텐트 옆으로도 모래색과 같아서 잘 구분이 안되는 텐트와 또 녹색의 텐트까지 총 3개의 텐트가 있었고, 모래톱 가운데에 한 사람이 서있는 것이 보인다. 여기 블랙캐년도 강가까지 내려가는 길이 남북에 모두 있지만 관리하지 않는 트레일인 unmaintained route이고, 선착순으로 발급되는 퍼밋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일단 나는 그랜드캐년 바닥부터..."그래도 저 아래에서 올려다 보는 모습은 또 어떨지 궁금하기는 하다.


이 때쯤 굵어지기 시작한 빗방울을 맞으면서 '다정하게' 얼굴 딱 붙여서 가족사진 셀카를 또 찍고는, 언제 또 다시 올 지 모르는 블랙캐년이니까 사우스림(South Rim) 도로의 끝까지 가보기로 했다.


차에서 내려 걸어야 하는 Cedar Point와 Dragon Point는 모두 건너띄고, Sunset View에 잠시 위기주부 혼자 내렸다. 저 멀리 서쪽으로 흘러가는 강물은 전날 저녁을 먹은 그랜드정션(Grand Junction)에서 콜로라도 강과 합류해서, 그랜드캐년을 만들며 흐르고 또 흘러서 태평양까지 갈 것이리라.


도로가 끝나는 해발 2,523 미터의 하이포인트(High Point)에서는 비가 많이 옴에도 불구하고 지혜도 함께 내렸는데... "잠깐! 그건 뒷자리에 던져 둔 아빠 옷이잖아~"


여기서는 바로 강물이 보이지 않고, 제법 트레일을 해야 워너포인트(Warner Point)라는 전망대가 나온다고 되어있는데, 주차해놓은 차들이 아주 많았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를 마지막으로 다시 들어왔던 입구로 돌아나가서 블랙캐년오브더거니슨(Black Canyon of the Gunnison) 국립공원과 작별하고, 50번 국도를 만나서 동쪽으로 달렸다.


러시모어/와이오밍/콜로라도 8박9일 자동차여행의 여행기에 등장하는 마지막 지도로 8일차의 이동경로인데, 이 날도 600km 가까운 거리에 운전한 시간이 8시간은 족히 되었을거다! 그리고 호텔을 예약해놓은 덴버(Denver)까지 그 중 대부분의 거리를 이제부터 이동을 해야한다.


그랜드캐년의 상류에 댐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수인 글렌캐년 국립휴양지가 있듯이, 여기 블랙캐년의 상류에도 댐이 있고 그 호수는 큐레칸티 국립휴양지(Curecanti National Recreation Area)로 지정이 되어있다. 여행계획을 세울 때는 큐레칸티 NRA의 비지터센터에만 들러셔 수집하는 까만 브로셔라도 들고 나오려고 했는데...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해서 동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비도 많이 오고 시간도 없고 해서 그냥 차로만 호숫가를 지나갔다. 그래도 400여 곳의 미국 NPS Official Units 중의 한 곳이므로 방문한 셈 치기로 했다. (설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거니슨(Gunnison) 마을에서 점심을 먹기 위해서 들렀던 더블드래곤 태국? 베트남? 음식점이었는데, 중국계 주인이 동양인을 보고 반가워했던 기억이 난다. 점심을 배부르게 잘 먹고는 다시 출발~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대륙경계(Continental Divide)를 지나는 것을 두 번 보실 수 있는데, 첫 부분은 해발 3,448m의 모나크패스(Monarch Pass)를 지나 대서양 쪽으로 넘어가는 모습이다. 고개를 내려가서 주유를 하고 Poncha Springs 사거리에서 우리는 북쪽으로 좌회전을 했는데, 거기서 남쪽으로 1시간 정도만 가면 그레이트샌드듄(Great Sand Dunes) 국립공원이 나온다. 인생과 여행에 '만약'은 없지만 만약에 1~2일의 시간이 더 있었다면, 남쪽으로 내려가서 콜로라도 4개의 국립공원을 모두 섭렵하고 로얄고지(Royal Gorge)와 콜로라도스프링스(Colorado Springs)를 구경하고 덴버로 들어갔을텐데... 하지만 우리는 북쪽으로 '납마을' 레드빌(leadville)을 지나 슬쩍 다시 서편으로 넘어가서 70번 고속도로를 만나 빗속에 달리다가 아이젠하워 터널을 통과하는 것으로 영상이 끝난다. 공식명으로 Eisenhower–Edwin C. Johnson Memorial Tunnel은 1979년에 양방향 터널이 모두 완성되었는데, 위 화면에 보이는 서쪽 입구의 해발고도가 3,401m이고 대륙경계인 록키산맥 아래로 2.7km를 관통해서,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가장 긴 터널이라고 한다.


옛날 옐로스톤 맘모스핫스프링스에서 봤던 것과 같이(클릭!)트럭짐칸에 직접 나무로 집을 만든 DIY 캠핑카가 1차선을 달리고 있다. 이대로 우리는 덴버까지 곧장 달리는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자동차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을 들리기 위해 잠시 후에 고속도로를 나왔다.




북미대륙에서 일반 자동차로 올라갈 수 있는 가장 높은 곳, 마운트 에반스(Mount Evans Scenic Byway)

$
0
0

지난 여름에 러시모어/콜로라도/와이오밍 8박9일 자동차여행의 짐을 싸면서 두꺼운 겨울파카를 챙겼었다. 하지만 여행 첫날 방문했던 록키마운틴(Rocky Mountain) 국립공원 꼭대기에서는 날씨가 좋아서 그랬는지 겨울파카까지는 필요가 없었다. (여행기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그렇게 우리 가족 3명의 겨울파카는 렌트카 트렁크 속의 여행가방에서 나와보지도 못하고, 다시 비행기를 타고 LA로 돌아가야할 운명이었는데...


여행을 시작했던 콜로라도 덴버(Denver)까지 약 30마일 정도를 남겨둔 아이다호스프링스(Idaho Springs)에서 70번 고속도로를 나와서, 남쪽으로 다시 산길을 14마일 정도 달리면 '메아리 호수'를 내려다보며 1926년에 만들어졌다는 통나무 호텔인 에코레이크 라지(Echo Lake Lodge)가 나온다.


여기 에코레이크의 해발고도는 10,600 ft (3,230 m)나 되는데, 고속도로에서 나온 마을이 2,294 m였으니까, 산길 14마일을 달리면서 벌써 1 km 가까운 높이를 올라온 것이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라지의 1층은 이제 찾아가는 에반스 산(Mt Evans)의 기념품도 있기는 하지만, 거의 벼룩시장 수준으로 온갖 잡동사니들을 파는 곳이라서 구경하는데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우리 빨리 어두워지기 전에 산에 올라갔다가 내려와서, 덴버까지 가야돼~"


마운트에반스 시닉바이웨이(Mount Evans Scenic Byway)는 공식적으로는 70번 고속도로를 나와서부터 산정상까지 28마일(45 km) 도로를 말하지만, 요금을 받는 입구는 중간 지점인 여기 에코레이크(Echo Lake)에 있었다. 미국산림청(US Forest Service)에서 관리하는 곳으로는 드물게 입장료를 받지만, 국립공원 연간회원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리는 그냥 통과!


나무들이 빼곡한 숲길을 빠져 나오니, 아래쪽으로 처음에 소개한 에코레이크가 아담하게 내려다 보인다. 그리고는...


수목한계선 위로 올라와서 나무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도로옆으로는 아직도 두꺼운 눈이 남아있는 구간들이 나왔다.


저 멀리 전광판에 "ROAD DAMAGE AHEAD"라고 되어있는 곳 이후로 울퉁불퉁한 구간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도로상태가 크게 나쁘지는 않았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도로는 5월말 메모리얼 연휴 전후에 오픈을 해서 9월초 노동절 연휴까지의 여름철에만 통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정상 바로 아래에 있는 서밋레이크(Summit Lake)의 해발고도는 3,912 m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호수로 여겨진다고 한다. 비포장 도로 안쪽의 주차장에 차들도 몇 대 있고 호숫가에 사람들도 좀 있었지만, 날씨도 나빠지는 것 같고 해서 조금 속도를 줄이다가는 그냥 계속해서 올라갔다. 무엇보다도 차에서 내리면 엄청 추울 것 같아서...^^


마지막 바위산 꼭대기에 다가갈 수록 길이 좀 꼬불꼬불 위험해졌다. 이 길을 조심스럽게 올라가는 차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계신 분들이 계셨으니,


산양(mountain goat) 이었다! 이미 해발 4천미터가 훨씬 넘는 높이에 주변에 풀들도 전혀 없었는데... "너희들 안 춥냐? 밥은 먹고 다니냐?"


빗방울이 조금 떨어지다가, 이제는 아예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갑자기 어두워진다는 느낌이 들 때 쯤해서,


왠 폐허같은 건물 옆으로 만들어진 주차장에 제법 많은 차들이 세워져있는 마운트에반스 관광도로의 끝에 도착을 했다. 이 주차장은 북미대륙에서 도로포장이 된 가장 높은 곳으로 해발고도가 14,130 ft로 무려 4,310 m 이다!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하시면 산림청 매표소에서부터 정상까지의 산길을 시속 100km의 속도로 8분여만에 올라가는 전체 블랙박스 영상을 보실 수 있다. (4배속으로 편집한 것이므로 오해는 없으시기를~^^ 자동차여행에서는 항상 안전운전!) 앞부분은 숲속이라서 조금 지루할 수도 있으므로, 앞쪽 1/3 정도는 패스하셔도 된다~


마운트에반스(Mount Evans)의 정상은 주차장 옆의 이 돌무더기 꼭대기로 해발 4,350 m이고, 안내판 옆으로 보이는 트레일을 따라 올라가면 된다고 하는데 올라갈 생각이 정말 눈꼽만치도 안 들었다. 이미 우리는 충분히 높이 올라왔으니까...


정상에서 제일 놀랐던 장면은 이 커플이 셀카를 찍는 모습이었는데, 반바지 반팔에 얇은 원피스라니! 분명 얼음 둥둥 떠다니는 북극해에서 수영하던 바이킹의 피를 이어받은 백인들일거야~ 반면에 우리는 마침내 트렁크에서 겨울파카를 꺼내서, 차 안에서부터 꽁꽁 싸맨 후에야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8박9일 여행 첫날에 록키산 국립공원의 Alpine Ridge Trail 정상 3,659 m에 올라가서, 그 이전의 유럽 융프라우요흐 전망대 3,454m 기록을 200 m 정도 갱신했었는데, 바로 여행의 막바지에 다시 650 m나 더 높은 4,310 m에 두 발로 선 아내와 지혜의 모습이다. 다음 편에서는 1930년에 이 높은 곳까지 힘들게 자동차 도로를 만든 이유를 알려 드릴 예정이다.




유니투어 2019년 존뮤어와 요세미티 (7/11~19일), 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 (8/13~22일) 참가자 모집

$
0
0

미국 LA지역의 트레킹 전문여행사인 유니투어에서 2019년 여름에 진행하는 존뮤어트레일 트레킹 2건, 존뮤어와 요세미티 (7/11~19일)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 (8/13~22일)프로그램의 참가자를 각각 모집합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을 클릭하시면 여행사 홈페이지에서 일정을 보실 수 있음)


그냥 간단히 '세계 최고의 트레킹 코스'라 부를 수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전체 길이 약 340 km 등산로인 존뮤어트레일(John Muir Trail)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여기를 클릭해서 보시면 됩니다.


존뮤어트레일은 위의 상세한 안내도처럼 북쪽에서 남쪽으로 차례로, 요세미티 국립공원과 앤젤아담스 야생지(Ansel Adams Wilderness)를 지나는 1구간, 존뮤어 야생지(John Muir Wilderness)의 2구간, 킹스캐년 국립공원의 3구간, 그리고 킹스캐년 남쪽과 미본토 최고봉인 휘트니산(Mt. Whitney)을 포함한 세쿼이아 국립공원의 4구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인기있는 1구간과 4구간을 전문산악인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가이드 프로그램으로 유니투어에서 매년 진행합니다.



미국 LA 유니투어는 트레킹 전문여행사로 위의 사진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이외에도 다양한 미서부 트레킹 여행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위기주부는 1구간 '존뮤어와 요세미티'는 2016년에, 4구간 '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는 2017년에 참가를 했는데, 아래 각각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구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위기주부의 생생한 산행기를 차례로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트레킹의 상세일정과 코스는 매년 약간씩 바뀔 수 있음)




2019년 존뮤어와 요세미티 (7/11~19일) 및 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 (8/13~22일) 트레킹에 참가를 원하시거나 관심이 있으신 분은, 유니투어 전화 (미국) 213-798-2508, (한국) 070-7883-3151, 또는 카카오톡 uniusatour로 직접 연락을 하시기 바랍니다.존뮤어트레킹 이외에도 유니투어에서는 미서부 지역의 다양한 전문적인 트레킹 투어가 있으므로,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배너나 여기를 클릭해서 '트레킹여행일정'을 보시면 됩니다.



존뮤어트레일, 그랜드써클과 옐로스톤 트레킹, 그랜드캐년과 모뉴멘트밸리 출사여행 전문여행사 유니투어 홈페이지 클릭



해발 4,310 m의 마운트에반스(Mount Evans) 정상을 구경하고, 마지막 숙소인 덴버 다운타운 호텔로~

$
0
0

미국 콜로라도(Colorado)는 동서남북 주경계가 모두 경선과 위선으로 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그 면적이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 전체보다고 약 20% 정도 더 크다. 그 넓은 땅을 톡키산맥이 남북으로 관통을 하고 있어서, 콜로라도 주에서 가장 낮은 곳의 해발고도가 1,011 m이고 주전체의 평균고도가 무려 2,070 m나 된다고 한다. 북미대륙 록키산맥 전구간에서 최고봉인 해발 4,401 m (14,440 ft)의 엘버트산(Mount Elbert)을 필두로, 소위 '포티너(fourteener)'라 부르는 높이 1만4천피트 (4,267m) 이상의 봉우리만 무려 53개가 있는 진정한 "Mountain State"이다.


그 콜로라도주 53개의 '포티너'들 중의 하나인 마운트에반스(Mount Evans) 정상 아래 해발 4,310 m에서 추워서 벌벌 떨고있는 지혜와 아빠의 모습이다. (이 높은 곳까지 어떻게 올라왔는지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서 전편을 보시면 됨)


바로 옆으로는 '크레스트하우스(Crest House)'라 불리는 폐허가 된 건물이 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돌로 장식한 외벽과 콘크리트 벽면만이 남은 이 곳은, 한 때는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상업용 건물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기구한 역사가 지금 지혜가 보는 안내판에 옛날 모습의 사진과 함께 씌여있다.


얼마 전에 종영한 화제의 한국드라마 <SKY캐슬>을 떠올리게 하는 "The Castle in the Sky"라 불렸던 이 건물은, 1941년에 완공되어서 레스토랑, 커피숍, 기념품가게로 운영이 되었는데, 안타깝게도 1979년에 가스폭발에 의한 화재로 완전히 소실되었다고 한다. 그 후 1992년에 삼림청에서 주변을 정비하고 보수를 해서 지금의 전망대로 만들어 다시 일반인들도 들어와볼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한다.


'천공의 성'을 돌아보고 다시 주차장으로 나와 북쪽으로 겹겹이 펼쳐진 산들을 배경으로 차가운 바위에 걸터앉아 사진을 찍었다. 왼쪽 끝에 가장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눈덮인 산들은 정북향으로 거의 100 km 거리인 이번 여행 첫날에 방문을 했던 록키산(Rocky Mountain) 국립공원이라고 한다. (여행기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차에서 내려서부터 Crest House를 둘러보고 다시 주차장 돌아오는 비디오를 보실 수 있다.


주차장을 돌아 내려가면서 찍은 사진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천문대는 덴버대학교에서 1996년에 만든 Meyer–Womble Observatory로 1999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설치된 천체망원경이었다고 한다. (지금도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 천문대이고, 가운데 삼각형 건물은 여름동안 연구원들이 사용하는 숙소임) Mount Evans Scenic Byway 도로가 만들어진 직후인 1931년부터, 광전효과의 발견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콤튼(Arthur H. Compton)의 우주선(cosmic ray)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물리실험이 대기의 영향이 적은 이 곳에서 진행이 되었다고 한다.


정상 바로 아래의 스위치백 구간에서 차를 세워놓고 사진을 찍는 사람들... 날씨가 맑았으면 훨씬 더 멋있었을 것 같다.


스위치백을 다 돌아 내려오니 서밋레이크(Summit Lake) 주차장에 제법 많은 차들이 보였다. 우리도 잠시 세워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으나...


도로옆에서 반바지를 입고 계신 이 분을 보니, 너무 추워보여서 그냉 패스하기로~ "우리는 갈 길이 멀어..."


이 와중에 자전거를 타고 끝없는 오르막을 올라오고 있는 분이 계셨다. 아니나 다를까 복습하면서 찾아보니, 거의 한 번의 내리막도 없이 44.1 km를 달리며 2,108 m의 고도를 올라가야 하는 이 도로를 달리는 Mt. Evans Hill Climb 자전거대회가 1962년부터 매년 개최된다고 한다.


전편에 소개한 해발 3,230 m의 에코레이크(Echo Lake)를 지나서 또 고도 1,000 m 정도를 더 내려가서야 다시 70번 고속도로를 만나 동쪽 덴버로 향할 수 있었다. 7일만에 다시 마주하는 대도시 주변의 인터체인지들이 아주 낮설어서 조심조심 운전을 했던 기억이 난다.


덴버 시내에 들어와서 고속도로를 나가기 전에 만난 경기장인데, 운전을 하면서는 MLB 콜로라도 로키스의 홈구장인 쿠어스필드로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관중석에 그려진 말의 그림을 보고는 미국 미식축구팀 덴버 브롱코스(Denver Broncos)의 경기장인 줄 알았는데, 이름이 마일하이 스타디움(Mile High Stadium)이란다.


위의 화면이나 여기를 클릭하시면 마운트에반스의 정상을 출발해서 덴버 다운타운의 호텔에 도착하는 주요장면을 편집한 것을 보실 수 있다.


8박9일 러시모어/와이오밍/콜로라도 자동차여행의 마지막 숙소는 덴버 다운타운의 하얏트 호텔인데, 그 동안 이 자동차여행 40여편의 여행기에서 객실사진을 올리는 것은 이게 처음이자 당연히 마지막인 듯...^^


길고 긴 여정을 달려 다시 덴버로 돌아왔다~ 이제 '마일하이시티(Mile High City)' 다운타운으로 저녁을 먹으러 나가봅시다!




가는 날이 장날! 코믹콘(Comic Con)과 프라이트페스트(PrideFest)가 같이 열린 다운타운 덴버 밤풍경

$
0
0

미국 콜로라도의 주도가 어딘지 모르시는 분이라도, 아마 미국의 전설적인 컨트리뮤직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인 존 덴버(John Denver)라는 가수는 들어보셨을 것이다.


본명이 Henry John Deutschendorf Jr.로 독일식 '도이첸도르프'라는 이름 대신에 자신이 좋아한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John Denver라는 예명으로 솔로활동을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래서 '콜로라도 덴버'하면 존 덴버의 <Take Me Home, Country Roads>노래처럼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전원의 풍경이 녹아든 도시일 것이라는 상상이 떠올랐다. 그러나...


숙소인 다운타운 덴버(Downtown Denver)의 하얏트 호텔에서, 45도로 만들어진 길을 따라서 북동쪽으로 객실 창문 밖으로 내다 본 모습이다. 크라운플라자(Crowne Plaza) 호텔을 지나 많은 식당들이 모여있는 것 같아서, 저녁 먹을 곳을 찾아서 걸어가보기로 했다.


여러 광고판들 위로 파빌리온(Pavilions)이라고 되어있는 곳이 다운타운의 가장 중심가 같았다. "숙소 위치는 잘 잡았군~"


파빌리온 입구를 지나서 만난 '16th St Mall'은 여기 LA 산타모니카의 '3rd St Promenade'처럼 차량통행이 금지된 보행자도로 좌우로 많은 상점들이 있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그런데, 오른쪽에 걸어가는 사람이 등에 메고있는 것은?


캡틴아메리카의 방패였는데 여러 개의 총알구멍과 함께, 같은 편인 울버린과 언제 싸웠는지 3줄로 울버린의 아다만티움 발톱(?) 자국까지 가운데 선명하다.^^


자전거 인력거꾼들의 복장도 망사와 반짝이 쫄티는 기본에 활과 화살을 멘 큐피드 복장도 있었고, 이외에도 캐릭터 복장을 한 사람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확인을 해보니까 전날 금요일부터 다음날 일요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만화박람회인 덴버 코믹콘(Denver Comic Con)행사가 인근의 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것이었다.


고개를 돌리니 노출이 좀 심하신 두 커플의 뒤로 사진 왼쪽에는 또 '무지개색깔' 날개를 달고 걸어가시는 분도 보인다. 코믹콘과 함께 LGBT 축제인 덴버 프라이드페스트(Denver PrideFest)도 주말에 함께 열려서, 내일 일요일에는 여기 시내에서 프라이드 퍼래이드가 있다고 한다. 컨트리 음악의 서정시인인 존 덴버와는 참 어울리지 않는 행사가 2개나 동시에 열리는 날에 우리는 덴버에 도착한 것이었다.


그래서 토요일 저녁에 사람들도 많고, 마땅히 먹을만한 곳도 없어서 방황을 하다가... 피곤하다는 지혜는 혼자 호텔방에 먼저 돌아가서 쉬라고 하고, 걸어오면서 본 레스토랑에서 피자를 투고해서 호텔방에서 먹기로 했다.


하드락카페 입구에 늘어선 긴 줄 옆에서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던 공룡 두 마리~^^ 저 공룡복장(?)이 1~2년 전에는 미국에서 엄청 유행을 했었는데, 이제는 좀 시들해진 것 같다.


피자를 주문해놓고 픽업을 기다리면서 다시 16th St Mall 거리로 나와보니, 백마가 끄는 하얀 마차가 지나가고 있었다.


여전히 시끌벅적한 하드락카페 입구와 그 주변을 어슬렁거리고 있는 공룡인데, 갑자기 나도 저 코스튬 한 번 입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여행 계획을 세우면서 여행책에서 봤던 덴버 파빌리온(Denver Pavilions)의 커다란 글자가, 록키산의 남청색 저녁 하늘 아래에서 무지개색으로 빛나고 있던, 우리 가족의 지난 여름 8박9일 여행의 마지막 밤이었다.




'마일하이시티' 덴버의 콜로라도 주청사(State Capitol)와 컨벤션센터의 커다란 블루베어(Blue Bear)

$
0
0

마침내 8박9일의 여행을 모두 끝내고 오후에 LA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타야하는 일요일 아침, 늦잠을 자겠다는 아내와 지혜는 방에 남겨두고 혼자 카메라를 메고 다운타운 덴버의 호텔을 나왔다.


남동쪽으로 비스듬히 만들어진 도로를 따라 조금만 걸어가니, 시빅센터(Civic Center) 역 뒤로 황금색의 돔이 빛나는 목적지인 콜로라도 주청사 건물이 나타났다.


주청사의 서쪽으로는 리버티파크(Liberty Park)와 시빅센터파크(Civic Center Park) 등의 넓은 녹지가 만들어져 있는데, 그 귀퉁이에 만들어져 있는 이 조각은 찾아보니까 Pioneer Monument Fountain 이라고 한다.


1890년대에 만들어진 콜로라도 주청사(Colorado State Capitol) 건물의 정면 모습이다. (구글맵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건물은 야트막한 언덕 위에 만들어져 있어서, 언덕을 올라가는 붉은색 계단이 끝나고 저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주청사 바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준이 왜 중요한지는 조금 있다 알게 됨^^)


주청사의 정문앞에 세워진 이 동상은 의외로 1861~1865년의 미국 남북전쟁에 참가한 콜로라도 출신의 병사들을 기리는 Civil War Monument 라고 하는데, 그 아래 동판에는 콜로라도 주의 역사 등이 기재되어 있다.


시빅센터 공원 건너편 서쪽으로 보이는 저 멋진 건물은 덴버 시청사(Denver City Hall)라고 하는데, 겨울철에 크리스마스 조명으로 장식한 모습이 유명하단다. 그리고 공원 잔디밭에 하얀 천막들이 많이 보이는 이유는 이 날 LGBT 프라이드페스트(PrideFest) 퍼래이드가 이 공원에서 출발하기 때문이었다. 자, 이제 뒤를 돌아서 '주청사 계단'을 올라가보자~


덴버의 별칭이 '마일하이시티(Mile High City)'인 것을 주청사 계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지금 "One Mile Above Sea Level"글자가 새겨진 바닥에서 15번째 계단이 정확히 해수면에서 1마일, 그러니까 고도 1,609 m로 최초에 측정되었단다. 그런데 1969년에 콜로라도 대학교 학생들이 다시 조사한 결과, 사진에 그 뒤로 동그란 동판이 붙어있는 18번째 계단으로 정정이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또 반전! 2003년에 다시 측정을 한 결과 오히려 원래의 두 칸 아래인 13번째 계단, 즉 위 사진을 찍기 위해 위기주부가 쭈그리고 앉아있던 넓은 곳으로 다시 정정이 되어서 3번째 표식을 또 붙였다고 한다. 그냥 헷갈리시면 계단 가운데쯤이 대충 1,609±1 m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시면 됨...^^


마지막으로 주청사의 돔은 진짜 금박으로 덮여있는데, 콜로라도 주 탄생의 시발점이 된 1859년 '콜로라도 골드러쉬(Colorado Gold Rush)'를 상징한다고 한다. 주중 업무시간에는 주청사 내부도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고, 또 저 황금돔 아래의 발코니까지 올라가볼 수도 있다고 하는데, 서두에 말한 것처럼 지금은 일요일 아침 일찍이라서 그만 발길을 돌려야 했다.


전날 밤, 캐릭터 복장을 한 사람들과 또 무지개색 의상을 입은 사람들로 붐볐던 16th Street Mall 거리를 따라서 호텔로 돌아가는 길이다. (전날밤의 다운타운 덴버 풍경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쉐라톤 호텔 앞의 춤추는 조각에도 이 날 있을 LGBT 프라이드 퍼래이드 분위기에 맞춰 무지개색 탱크탑을 입혀놓았다. (그러고 보니 기억이 났는데, 우리가 숙박한 하얏트 호텔의 직원들은 코믹콘 행사를 기념해서, 스타트랙 엔터프라이즈호 승무원 유니폼을 입고 있었음)


하나 더 구경할 것이 있어서, 우리 호텔을 지나서 콜로라도 컨벤션센터(Colorado Convention Center)까지 걸어왔다. 전시장 건물도 멋있기는 하지만 건물을 구경하러 온 것은 아니고, 오른편에 살짝 보이는


저 커다란 푸른색의 곰, '블루베어(Blue Bear)'를 구경하러 온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날 컨벤션센터에서는 만화박람회인 덴버 코믹콘(Denver Comic Con)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2005년에 세워진 높이 40피트(12.2 m)의 이 곰 조각의 작품명은 <I See What You Mean>이라고 한다.


이 날은 행사가 있어서 그런지 곰 바로 옆에는 갈 수 없도록 펜스를 쳐 놓았지만, 건물과 곰 사이로 지나갈 수는 있었다.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도 재미있었는데, 역광이라 잘 나온 사진이 없어서 보여드리지 못 하는게 아쉽다.


진짜 곰이 컨벤션센터 안에 뭐가 있는지 궁금해서 들여다 보는 모습같았는데, 건물 안에서 유리창 밖의 곰을 찍은 사진을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정말 곰의 모습이 귀엽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코믹콘 행사의 마지막 날 입장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뒤로 하고, 호텔로 돌아가서 아침식사를 먹고는 우리 가족도 8박9일 여행의 마지막 날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 또 출발을 했다.




콜로라도 덴버의 필수 관광지, 붉은 바위로 둘러싸인 레드락 야외원형극장(Red Rocks Amphitheatre)

$
0
0

8박9일의 여행일정을 모두 세우고 숙소와 비행기표 예약을 마친 후에, 콜로라도 덴버(Denver)를 구경할 수 있는 시간은 마지막 날 반나절 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덴버에서 꼭 가봐야겠다고 제일 먼저 떠오른 곳이 바로 여기였다.


그 곳은 바로 덴버 시내에서 서쪽으로 10 마일 정도 떨어진 모리슨(Morrison)이라는 마을에 있는 레드락스 엠피씨어터(Red Rocks Amphitheatre)라는 야외 원형극장이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극장 위쪽의 동그란 건물에서 아래층으로 내려가면 비지터센터가 있다고 해서, 먼저 구경을 하기로 했다.


입구에 있던 잘 만들어진 모형으로 설명을 드리면, 이렇게 자연적으로 솟아있는 두 개의 '붉은 바위(red rocks)' 사이의 경사진 땅을 관중석으로 만든 야외극장인데, 모두 벤치로만 되어있는 관중석의 정원은 9,525명이나 된다고 한다.


비지터센터 계단을 내려와서 나오는 발코니는 SHIP ROCK GRILLE 이라는 레스토랑으로 운영이 되고 있었다.


비지터센터 내부에는 이 곳이 공식적으로 오픈한 1941년 이후로 여기서 공연한 사람들에 대한 소개가 빼곡했다.


의자들이 놓여진 작은 공간에서는 이 곳에서 공연한 유명한 사람들의 영상과 함께, 좌우로는 그 당시의 공연포스터 들이 붙어있었다. 영국 비틀즈가 1964년에 전미투어를 할 때도 여기서 공연을 했는데, 유일하게 매진이 되지 않았던 공연장이 여기였다는 슬픈 전설이...^^


지혜도 전시관의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는 모습이다. 역사를 좀 더 살펴보자면... 1906년부터 지형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간이 무대와 관중석을 만들어 여러 공연을 해오던 이 곳을, 덴버시에서 주변 지역과 함께 소유자로부터 사들여서 1936년부터 5년간 현재의 모습으로 원형극장과 주변에 공원을 만들어 Red Rocks Park & Amphitheatre로 운영을 하고있다.


사진처럼 공연에 등장했던 소품이나 악기들도 일부 전시가 되어 있어서, 공연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볼거리가 제법 있는 비지터센터이다. 이제 밖으로 나가보자~


뒤로 보이는 바위는 무대에서 봤을 때 오른쪽에 있는 것으로 "Creation Rock"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 90도 수직으로 솟아오른 높이는 100 m에 가깝다고 한다. 여기서 사진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극장의 관람석이 내려다 보인다.


짜잔~ 일요일 오전에 공연도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 천혜의 야외극장을 구경하기 위해서, 또 사진에도 달리기 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것처럼 운동하기 위해서 이 곳을 찾았다.


우리가 사는 LA에는 헐리우드보울(Hollywood Bowl)이 있다면, 여기 덴버에는 레드락(Red Rocks)이 있었다~^^ (사진 속 두 모녀가 10여년 전에 LA 헐리우드보울에서 찍은 사진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뭐랄까? 그냥 앉아만 있어도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공간이었는데, 가운데 멀리 아내와 지혜가 앞뒤로 앉아있는 모습을 봐도 알겠지만, 의자도 없으면서 앞뒤 간격도 아주 넓게 만들어 놓은 것이 아주 시원시원한 모습이었다.


앞쪽으로 내려가서 보니까, 벌써 무대에서는 이 날 오후에 있을 공연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여행 계획을 세우면서 전날 밤 토요일 공연의 표가 남았으면 좀 무리를 해서라도 덴버에 일찍 도착할 생각도 있었는데, 몇 달 전에 이미 매진이었었다. 그래서, 여기서 실제 공연을 보는 것은 다음 기회에...^^


아래쪽에서 관중석을 올려다 보니까, 좌석을 지지하도록 가지런히 박아놓은 나무 받침들이 만들어내는 곡선이 아주 아름다웠다.


그리고 작고 까만 좌석 번호판을 붙여 놓았는데, 좌석간의 좌우 간격도 LA 헐리우드보울의 벤치 좌석보다 훨씬 넓어 보였다. 참고로 LA 헐리우드보울 야외극장의 수용인원은 이 곳의 두 배에 가까운 17,500 명이나 된다.


무대의 왼쪽에 있는 다른 바위의 이름은 "Ship Rock"으로 이렇게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붉은 벽이 좌우에 세워져 있는 야외극장인 것이다. 그나저나 사진 속의 두 분은 여기를 체력단련장으로 이용하고 계신 듯...


"나도 뛰어서 끝까지 올라가 볼거야~"


아내와 지혜도 이 곳이 무척 마음에 드는 모양이다. 여행의 마지막을 아주 멋있게 장식하고는 주차장으로 돌아가는데,


여기도 LA 헐리우드보울 야외극장처럼 술을 마시면서 공연을 볼 수 있는지 맥주 광고판을 벽에 붙이고 있었다. 공교롭게도 전날 밤에 정한 이번 여행의 마지막 목적지는 바로 저 콜로라도를 대표하는 맥주인 쿠어스(Coors) 공장 견학이다! 물론 무료 시음도 포함해서~^^





유타 그랜드스테어케이스-에스칼란테 준국립공원과 글렌캐년 국립휴양지로 떠나는 3차 오지탐험 계획

$
0
0

미국 LA 현지 트레킹 전문여행사 유니투어홍사장님과 함께 하는 위기주부의 미서부 오지탐험 여행! 지난 2016년 1차(클릭)와 작년 2018년 2차(클릭)에 이어서, 올해 3차로 계획하고 있는 오지탐험의 핵심 목적지를 아래 사진으로 소개한다.


2006년 내셔널지오그래픽 사진작가 마이클 멜포드(Michael Melford)의 <Glen Canyon Revealed> 사진으로 리플렉션캐년(Reflection Canyon)은 세상에 처음 알려졌는데, 위기주부는 그 때 한국에서 분명히 이 사진을 본 기억이 있다. 그리고 2012년에 애플이 맥북프로(Macbook Pro) 신제품 발표회에서 이 사진을 사용해서 대중에게 다시 알려졌고, 작년 미국 국립공원 연간회원권에도 이 곳의 일출사진이 들어간 것은 지난번 콜로라도 첫번째 여행기에도 소개를 했었다. (사진을 보시려면 클릭)이 'S자' 모양의 협곡이 있는 곳은 글렌캐년 국립휴양지(Glen Canyon National Recreation Area) 파웰호수의 상류인데, 아래 2014년 가족여행기를 보시면 공원지도와 함께 글렌캐년 NRA의 대략적인 안내를 보실 수 있다.


          글렌캐년(Glen Canyon) 국립휴양지 비지터센터에서 보는 다리와 댐, 그리고 파웰호수(Lake Powell)


3차 오지탐험 여행의 주요 포인트들을 둘러보는 경로를 구글 위성사진에 표시했는데, 위쪽 12번 국도로 브라이스캐년 국립공원을 지나서 나오는 에스칼란테(Escalante)부터, 아래쪽에서 다시 89번 국도를 만나는 빅워터(Big Water) 사이의 모든 경로가 비포장도로이고, 지도에 표시된 비포장도로의 이동거리만 250 km가 넘는다. 12번 도로 남쪽으로 글렌캐년 NRA 사이의 넓은 황무지는 그랜드스테어케이스-에스칼란테 준국립공원(Grand Staircase-Escalante National Monument)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아래 10년전 여행기를 보시면 그 대략적인 소개를 보실 수 있다.


          미국 최고의 관광도로, All-American Roads인 유타주 12번 도로를 달려 캐피톨리프 국립공원으로~


리플렉션캐년은 비포장도로 50 마일을 2시간 이상 달린 후 Reflection Canyon Trailhead에서 내려서, 위의 트레일맵과 같이 편도 약 9 마일을 4~5시간 동안 걸어서 콜로라도 강가까지 가야 볼 수 있는 정말 '오지중의 오지'이다. 저 루트도 공식적인 트레일이 아니라서 지형도와 GPS를 이용해서 목적지를 찾아가야 하므로 일반인들은 정말 찾아가기 어려운 곳이다. 에스칼란테 마을에서 새벽에 출발해서 당일로도 왕복은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리플렉션캐년이 내려다 보이는 절벽 위에서 캠핑을 하는 1박2일 일정으로 다녀오게 되고 위기주부도 그렇게 진행을 할 예정이다. 그 이유는 바로...


이와 같은 비현실적인 밤풍경과 또 앞서 언급한 이 곳 일출의 장관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텐트와 침낭, 1박2일 동안 먹을 것은 물론 마실 물도 모두 짊어지고 길도 없는 황무지를 왕복 10시간 가까이 걸어야 한다.


에스칼란테(Escalante) 마을에서 12번 도로와 갈라져 파웰호숫가까지 이어지는 전체 약 55 마일의 비포장도로의 이름은 홀인더락로드(Hole-in-the-Rock Road)이다. 여기보다 훨씬 북쪽의 Mormon Pioneer National Historic Trail을 따라 1847년에 서부로 와서 솔트레이크에 정착한 몰몬교도들이, 유타주 남쪽으로 내려와서는 바로 미동부와 잇는 지름길을 만들기 위해 1879~80년 사이에 콜로라도 강을 건너는 루트를 개척하면서, 강가를 둘러싼 절벽의 조그만 '구멍(The Hole)'을 마차가 지나갈 수 있도록 넓혀서 힘들게 길을 만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데, 위 사진은 그 길 끝에서 절벽 틈새로 지금의 레이크파웰이 내려다 보이는 모습이다.


이해 또는 감동을 돕기 위해 사진 한 장 더 보여드리면... 절벽 위 비포장도로가 끝나는 곳에서 수직으로 610 m 아래의 콜로라도 강가까지, 저 절벽 사이의 좁은 틈으로 250명의 몰몬교도 가족들이 80여대의 마차와 1,000마리의 가축을 끌고 내려갔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도로 끝까지는 가 볼 시간은 없을 것 같고, 대신에 처음 지도에서 표시한 것처럼 Hole-in-the-Rock Road 주변의 슬롯캐년(slot canyon)과 바위들은 간단히라도 탐험할 예정인데, 북쪽부터 차례로 사진과 함께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지브라 슬롯캐년(Zebra Slot Canyon)은 요즘 한국에서도 유명한 앤틸롭캐년과 같은 사암(sandstone)이 좁게 곡선으로 침식된 협곡인데 (포스팅은 여기를 클릭), 사진처럼 색깔이 다른 두 개의 바위층이 얼룩무늬를 만들고 있어서 '얼룩말 캐년'으로 불리는 것이다. 또 바로 옆에는 Tunnel Slot Canyon 이라는 또 다른 슬롯캐년이 있는데, 당연한 이야기지만 여기는 페이지(Page)의 앤틸롭캐년과 달리 비싼 입장료를 전혀 내지 않아도 된다.^^


그 남쪽으로 도로 바로 옆에 독특한 '투톤칼라(two-tone color)'의 돌기둥들이 서있는 데블스가든(Devil's Garden)이 있는데, 그 한가운데에는 사진처럼 기이한 모양의 메타테 아치(Metate Arch)도 만들어져 있다. (metate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맷돌로 사용한 평평한 돌판을 말한다고 함)


피카부 슬롯캐년(Peek-a-Boo Slot Canyon)은 여러개의 아치로 좁은 캐년이 만들어져 있으며, 바로 이웃한 스푸키 슬롯캐년(Spooky Slot Canyon)과 묶어서 시간만 된다면 루프트레일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영어 "peek-a-boo"또는 "peekaboo"는 아기들 앞에서 얼굴을 손으로 가렸다가 보여주는 놀이를 말하므로, 이 곳을 한국말로 번역한 이름은 '까꿍 협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국토관리국(Bureau of Land Management, BLM)의 안내판에 소개된 내용처럼 댄스홀락(Dance Hall Rock)은 실제로 100여년 전에 이 길을 마차를 타고 지나가던 개척자들이 '스퀘어댄스(square dance)'를 추면서 쉬어가던 곳이라고 한다. 만약 이러한 곳들을 첫날 다 탐험하고 리플렉션캐년에서 캠핑을 한다면, 다음날은 남쪽으로 스모키마운틴(Smokey Mountain)을 지나서 글렌캐년의 또 다른 명소에서 오지 캠핑을 연이어 할 수도 있다.


레이크파웰(Lake Powell)의 가장 멋진 모습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알스트롬포인트(Alstrom Point)는 비포장도로이기는 하지만 빅워터(Big Water) 마을에서 1시간 정도면 자동차로 거의 절벽 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흔히 미서부에서 최고의 오토캠핑 장소로 꼽히는 곳이다. (단, 캠핑을 위해서는 사전에 무료 퍼밋을 받아야 함) 이렇게 이틀 연달아서 화장실도 없는 오지 캠핑이 가능할 지, 또 자동차 기름은 충분할 지 등등을 좀 더 고민은 해봐야겠지만 일단 계획은 이렇게 거창하게 세워본다~^^


마지막 소개하는 탐험지는 빅워터 마을 가까운 곳에 있는 와윕후두(Wahweap Hoodoos)이다. 이 곳은 위 사진의 '화이트고스트(White Ghost)'같은 정말 특이한 하얀색 돌기둥과 절벽을 볼 수 있는데, 3년전 첫번째 오지탐험때 갔던 화이트포켓(White Pocket)과 같은 지층으로 생각된다. (여행기는 여기를 클릭) 이상으로 소개한 모든 곳들을 금요일 오후에 LA를 출발해서 월요일 밤에 돌아오는 모자란 3박4일로 다 둘러보는 것이 가능할지는 솔직히 의문이다~


PS1. 원래 3월에 갈 계획이었는데 최근에 미서부에 너무 비가 많이 와서, 비포장도로의 상태도 문제고 또 슬롯캐년에 물이 고였을 것으로 생각되어, 3차 오지탐험은 4월중순 이후로 연기했습니다. 또 1차 때와 마찬가지로 토요일 아침에 캐납(Kanab)에서 '더웨이브(The Wave)' 현장추첨에 도전하므로, 만약 로또에 걸리는 경우에는 웨이브로 목적지가 변경되고, 여기 소개한 리플렉션캐년은 다음 기회로 미뤄질 예정입니다.


PS2. 유니투어에서 2019년 여름에 진행하는 존뮤어트레일 트레킹 2건, 존뮤어와 요세미티 (7/11~19일) 및 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 (8/13~22일) 프로그램의 참가자를 현재 모집하고 있으므로, 관심이 있으신 분은 여기를 클릭하셔서 안내를 보시면 됩니다.



존뮤어트레일, 그랜드써클과 옐로스톤 트레킹, 그랜드캐년과 모뉴멘트밸리 출사여행 전문여행사 유니투어 홈페이지 클릭



콜로라도 록키산 아래 골든(Golden) 마을에 있는 세계 최대 양조장, 쿠어스(Coors) 맥주공장 무료투어

$
0
0

10여년 전, 미리 월세를 구해놓고 미국으로 이사 오면서우리는 전 세입자가 그 집에서 쓰던 냉장고를 중고로 구입했다. 미국에 도착해서 빈 집에 남겨진 냉장고를 열었을 때, 초코칩 쿠키와 함께 맥주캔이 몇 개 들어있었다. 그래서, 위기주부가 미국에 이사와서 처음 마신 맥주이자, 의심의 여지없이 지금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마신 맥주가 바로 쿠어스라이트(Coors Light)이다.


8박9일의 러시모어/콜로라도/와이오밍 자동차여행을 모두 마치고 LA로 돌아가는 오후 비행기를 타야하는 일요일, 뒤로 보이는 세계 최대의 양조장(brewery)이라는 쿠어스 공장 무료투어가 낮 12시부터 시작한다고 해서 10여분 일찍 도착했는데도... 이미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았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우리는 정확히 1시간을 기다려서 공장으로 들어가는 저 셔틀버스에 탑승을 할 수가 있었다. 셔틀버스는 사진의 쿠어스라이트, 쿠어스뱅큇, 그리고 블루문으로 각각 랩핑된 3대가 운행되었는데, 나중에 혹시 캠핑카를 사면 저렇게 랩핑하면 멋있겠다는 쓸데없는 생각이...^^


※작년 여름에 우리가 투어할 때는 무료였는데, 올해 2019년 3월 28일부터는 만 21세 이상은 $10의 요금을 받는다고 하므로, 혹시 지금 덴버 부근에 계신데 아직 못 가보셨다면 빨리 공짜일 때 가보시기 바랍니다~^^ 요금 및 투어시간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여기를 클릭해서 직접 보시면 됩니다.


공장 안에 내리자 커다란 솥단지와 함께, 정통 브랜드인 쿠어스뱅큇(Coors Banquet) 노란 맥주캔이 보였다. 쿠어스 맥주회사는 독일에서 이민 온 Adolph Coors와 Jacob Schueler가 1873년에 여기 콜로라도 골든(Golden)에 최초로 양조장을 만들어 시작했다고 하니까, 여기가 '원조' 쿠어스 맥주를 생산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겠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줄을 서서 기념사진을 찍은 후, 만 21세가 넘었는지 확인하고 종이팔찌를 채워준다. 사진의 가운데 기둥에는 "21 MEANS 21"글자 아래에 빨간색 시계로 오후 1:07분, JUN 17, 1997년을 나타내고 있는데, 무슨 의미인가 하면 만 21세에 1분이라도 모자라면 술을 마실 수 있는 증표인 종이팔찌를 찰 수 없다는 뜻이다! 또 아무리 나이가 들어보여도 신분증이 없으면 역시 안 되므로, 반드시 신분증을 들고 가셔야 한다.


이 회사의 여러 맥주 브랜드들을 소개해놓았는데, 제일 오른쪽 위에 다른 회사 제품인 밀러라이트(Miller Lite)가 보인다?! 조사를 해보니 1855년 위스콘신 주 밀워키(Milwaukee)에서 탄생한 밀러 맥주는 2008년부터 미국내 사업은 쿠어스와 합쳐져서, 밀러쿠어스(MillerCoors)라는 하나의 회사가 되었다고 한다. (미국외 지역에서 '밀러' 등의 맥주를 팔던 SABMiller 회사도, 2016년에 세계 최대 맥주회사로 '버드와이저'를 생산하는 앤호이저-부시(Anheuser-Busch)에 인수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밀러 맥주는 이름만 남고 회사는 사라졌다고 봐야 함)


창업자 아돌프 쿠어스(Adolph Coors)의 손자인 월리엄 쿠어스(William Coors)는 2000년까지 거의 반세기 동안 이 맥주회사를 이끌었고, 2018년에 102세의 나이로 죽었다고 한다. 그리고 쿠어스는 2005년에 캐나다 맥주회사 몰슨(Molson)과 합병해서 Molson Coors Brewing Company가 되었고, 전세계 판매량 기준 7위의 맥주회사라고 한다. (미국내 판매량으로는 밀러쿠어스가 앤호이저-부시에 이어 2위임)


오디오투어도 무료로 제공되어서, 지혜가 맥주의 재료에서부터 생산과정까지 설명을 아주 열심히 들었다. 설명판들을 비싼 구리통(?)으로 만들어 세워놓은 것이 신기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실제 맥주를 발효시키고 있는 거대한 통들이 모두 구리로 만들어져 있었다. 저 속에서 부글부글~


왠지 옛날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풀질관리 실험실(Quality Control Laboratory)도 있었는데, 맥주의 품질이 좋은지 관리를 하려면 연구원들이 계속 마셔봐야 하는 것 아닌가? 


그리고는 좀 걸어서 목이 마르다는 생각이 들 때 쯤해서, 이렇게 간이 시음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짠하고 나타나 주셨다!^^ 손목에 찬 종이팔찌에 체크를 하고는 작은 플라스틱 컵에 한 잔을 저 탭으로 따라서 주었는데,


얼음 의자에 앉아서 마셔서 그런지 정말 시원하고 맛있었다. 여기서 쓸데없는 설명 하나 더 드리면... 쿠어스라이트 캔과 박스에 항상 등장하는 저 피라미드 모양의 산은, 여기서 제법 멀리 떨어진 콜로라도 남서부의 관광도시 텔루라이드(Telluride) 부근에 실제로 있는 해발 4,274 m의 윌슨 봉우리(Wilson Peak)라고 한다. (기아자동차의 대형 SUV 신차의 이름인 '텔루라이드'가 그 콜로라도 도시의 이름을 딴 것임)


밀러쿠어스(MillerCoors)에서는 현재 미국에 7곳의 대규모 양조장을 운영하고 있다는데, 그 동안 LA에 사는 위기주부가 마셔온 쿠어스라이트 맥주는 '록키산 맑은 물'로 여기 콜로라도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집 근처 LA카운티 210번과 605번이 만나는 어윈데일(Irwindale) 공장에서 샌가브리엘 저수지 물로 만든 것이었다. "어쩐지 조금 전에 시음한 쿠어스라이트가 갑자기 더 맛있게 느껴지는 이 기분..."


공장 투어의 마지막 코스는 맥주캔을 포장하는 곳으로 생각되는 시설이었는데, 일요일이라서 그런지 설비가 돌아가고 있지는 않았다. 눈에 띄는 것은 큰 성조기를 안에 걸어놓았다는 것인데, 미국 공장들은 저렇게 성조기를 라인에 걸어두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짜잔~ 모든 코스를 마치고 이 계단을 내려가면, 맥주공장 투어의 하이라이트인 무료시음장이 나온다!^^ (위에 이미 안내드렸던 것처럼 2019년 봄부터 쿠어스 공장투어는 유료로 변경되었음)


시음장은 빈 테이블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사람들도 붐볐는데, 그래서 1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리게 해놓고 띄엄띄엄 셔틀을 운행해서 사람들을 공장으로 약간씩만 입장을 시켰던 모양이다. 이 와중에 제일 앞족에 있는 노부부는 무료 맥주를 받아놓고 여유있게 카드게임을 즐기고 계시는 중...^^


시음장의 맥주 메뉴판... 저 맥주들 중에서 팔찌를 찬 사람 1인당 3잔씩을 무료로 마실 수가 있었다. 한국에서도 수입맥주로 인기있는 블루문(Blue Moon)을 주문하면, 발렌시아 오렌지도 한조각 잔에 꽂아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


즐겁게 사람들에게 공짜 술을 컵에 부어주는 직원들의 모습인데, 월급 받으면서 이 일을 하면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순간 들었던 기억이 난다.


아내의 손목에 종이팔찌가 살짝 보이는데, 한 잔을 받을 때마다 체크를 해서, 3번 체크가 되면 더 이상 주문을 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돈을 주고도 더 먹을 수 없다고 한다. 만 21세가 안 되어서 맥주 대신 음료수를 받아든 지혜의 표정이 왠지 떨떠름해 보인다~^^


빈 의자가 없어서 일단 스탠딩 테이블에서 건배~ (왼쪽에 보이는 빈 잔들은 그 전 사람이 마시고 간 것임)


그러다가 빈 좌석이 나오는 것을 보고 재빨리 이동한 후 부터, 본격적으로 마시기 시작... 테이블의 간단한 안주와 과자들은 자동판매기에서 뽑아온 것인데, 안주를 미리 챙겨가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어차피 LA로 돌아가는 비행기는 늦은 오후였기 때문에, 거의 1시간 동안 천천히 즐겁게 마셨던 것 같다. 3+3 해서 6잔을 모두 채우고 싶었으나, 렌트카를 공항까지 운전해서 반납해야 하는 관계로 둘이서 5잔으로 끝내고 자리에서 일어섰다.


여기도 시음장의 출구는 기념품가게로 이어졌다. 역시 여유있게 천천히 둘러본 후에 그래도 뭐 하나는 사야할 것 같아서 종이 컵받침만 10개쯤 사왔는데 지금도 집에서 잘 쓰고 있다.


주차장으로 돌아가는 셔틀버스는 노란색 쿠어스뱅큇(Coors Banquet)이 랩핑되어 있었는데, 올 때와는 달리 이 공장이 있는 콜로라도의 유서깊은 도시라는 골든(Golden) 중심가를 지나서 주차장으로 돌아가게 된다.


1859년 콜로라도 골드러시(Colorado Gold Rush) 시기에 만들어진 도시라서 이름이 '골든(Golden)'인 줄 알았는데, 조지아 주 출신의 채광꾼 Thomas L. Golden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 동쪽으로 20 km 정도 떨어진 지금의 주도인 덴버(Denver)가 생기기 전인 1862~1867년 동안에는 콜로라도 준주(Territory of Colorado)의 수도 역할을 한 역사가 있고, 이번 8박9일 여행기에서도 소개를 한 적이 있는 미서부시대의 상징적인 인물인 '버팔로빌' 코디(Cody)의 묘지가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단다. (설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제법 많이 내렸던 비를 맞으며 덴버 국제공항에 도착해서 렌트카를 반납하고, 짐을 부치고 티켓팅을 끝낸 후에, 여유있게 공항라운지의 레스토랑에서 이른 저녁을 맛있게 먹었다.


최후의 만찬을 끝내고, 다시 LA 집근처 버뱅크(Burbank)로 직행하는 사우스웨스트 항공을 타는 것으로 지난 여름의 '러시모어와 콜로라도/와이오밍 주 8박9일 자동차여행'이 모두 끝났다.


P.S. 여행 다녀와서 3일 후부터 올리기 시작한 여행기를 거의 9개월만에 모두 끝냈고, 그 편수는 무려 46편이나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 프롤로그 페이지에 '최신 글' 60개의 대표사진을 자동으로 모아서 보여주는게 있는데, 그 사이사이에 쓴 다른 글 14개와 함께 46편의 여행기 대표사진이 모두 보여서 캡쳐해봤습니다. 사진이나 여기를 클릭하면 46편의 여행기를 모두 순서대로 보실 수 있는 리스트가 나옵니다.





앤틸롭밸리 파피꽃 보호구역(Antelope Valley California Poppy Reserve) 주립공원의 완벽한 슈퍼블룸!

$
0
0

요즘 미국 LA에 사시는 한국분들의 카톡 프로필이 모두 주황색 꽃밭에서 찍은 사진으로 바뀌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앤틸롭밸리 캘리포니아파피 보호구역(Antelope Valley California Poppy Reserve)을 찾아가는 차 안에서 찍은 첫번째 사진부터 2년전의 모습과는 비교도 되지 않았다. (굳이 2년전 모습과 비교해서 보시겠다면 여기를 클릭하시면 됨)


토요일 오전에 일찍 도착했지만, 벌써 주립공원의 주차장이 꽉 차서 이렇게 직원이 입구를 막아 놓았다. 우리는 운 좋게 입구 조금 지나 빠지는 차가 있어서 도로변에 주차를 하고는 걸어서 올라갔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괜히 주립공원으로까지 지정해서 야생화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냥 눈 앞에 펼쳐진 언덕 전체가 다 주황색이다.


가운데 주차비를 내는 입구 건물의 좌우로 주차장에 빼곡한 차들과 산책로를 따라 언덕을 올라가는 사람들이 보인다.


진입로 건너편의 서쪽 언덕을 배경으로 모녀가 사진을 찍었다. "저 주황색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보자~"


그냥 한 마디로 '꽃동산'이었다. 재작년까지 이 곳과 인연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3번째 방문만에 완벽한 '슈퍼블룸'을 만났다.


4월초까지 남동쪽 멀리 보이는 샌가브리엘 산맥 정상부에 많은 눈이 남아있는 것이 보인다. 올겨울 LA지역에는 기록적으로 많은 비가 왔었고, 그래서 들판의 봄꽃들이 이렇게 많이 피는 것을 영어로 슈퍼블룸(Super Bloom)이라고 한단다.


아직 점심때도 되지 않았는데 피크닉테이블에는 상춘객들로 가득했다. 2년전에는 여기 동쪽 라이트닝볼트 트레일(Lightning Bolt Trail)을 걸었었는데, 이번에는 서쪽 언덕으로 올라가보기로 했다.


비지터센터는 들어가보지도 않고 지나쳤는데, 앤틸롭밸리 캘리포니아파피 보호구역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와 저 비지터센터의 전시 등에 관해서는 여기를 클릭해서 10년전에 처음 방문했던 여행기를 보시면 된다. 


테하차피 전망대(Tehachapi Vista Point)까지 0.5마일... 사모님은 찬바람에 귀가 시리다고 스카프를 머리에 두르고 계신다.^^


뉴스에서 계속 올해가 정말 캘리포니아의 야생화들이 슈퍼블룸이라고 해서 주말에 여기를 찾은 사람들이 참 많았지만, 그렇다고 사람들이 많아서 짜증이 날 정도는 아니었다.


주황색 파피꽃들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선글라스 모녀~ 그런데 사모님 스타일이 좀....


이 주황색 꽃은 정식 영어 이름이 'California Poppy'로 한글로는 '금영화(金英花)'라고 부르는 양귀비꽃(Poppy)의 일종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주화(state flower)로 지정이 되어있다.


셀카봉을 가져가지 않아서 그냥 팔을 쭉 뻗어서 가족셀카를 찍었더니, 배경은 잘 안나오고 얼굴들만 크게 나왔다. 흑흑~


이 날 제일 신기했던 것! 하얀색 파피꽃이 딱 한 송이만 피어있었다. 어떻게 세상에 이런 일이...?


사실 꼭 목적지 전망대에 도달해야 할 필요도 이유도 없었지만, 그래도 열심히 얕은 언덕을 걸어 올라오고 있다.


능선까지 올라오니까 북쪽 너머가 내려다 보였는데, 주황색 파피꽃과 함께 노란색 야생화들도 많이 피어 있었다.


오른쪽 멀리 주차장과 비지터센터, 그리고 왼쪽으로 이어지는 우리가 걸어 올라온 트레일이 보인다.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들판과 언덕이 거의 주황색과 노란색 꽃들로 덮혀있는 장관이었다.


구름이 약간 끼기는 했지만, 날씨까지 받혀줘서 파란 하늘 아래에서 꽃구경을 할 수 있었다.


그렇게 비지터센터에서 20분 정도 걸어서 테하차피 전망대 언덕에 도착을 했다. 여기서 서쪽으로 계속 길이 이어지기는 했지만, 더 걸어가볼 필요는 없을 것 같아서 이만 돌아가기로 했다.


북쪽 아래로는 노란꽃들이 더 많았는데, 우리는 여기를 둘러본 다음에 또 다른 곳에 노란 야생화를 찾아갈 예정이었다.


선글라스를 올리고 사진을 찍은 지혜... 이 날은 지혜가 처음으로 콘택트렌즈를 하고 밖으로 나온 기념비적인 날이다~^^


이번 주 4월 중순 정도까지가 절정이고 그 후로는 급격히 꽃들이 지기 시작한다고 하므로, 아직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바꾸지 못하신 LA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서두르시기 바란다.


진입로를 걸어 내려가면서 우리가 올라갔던 꽃동산을 돌아 본다. 파란 하늘에는 계속 직선의 비행운들이 그려지고 있었고, 우리는 5번 고속도로를 북쪽으로 넘어가서 테혼랜치 아울렛(Outlets at Tejon)에서 점심을 먹고 두번째 꽃구경 장소를 또 찾아간다.



카리조플레인(Carrizo Plain) 준국립공원의 노란 야생화 언덕과 샌안드레아스 단층(San Andreas Fault)

$
0
0

봄꽃이 만발하는 '슈퍼블룸(Super Bloom)'이라고 해서 LA 북쪽에 야생화로 유명한 두 곳 중에서 어디로 꽃구경을 갈까 고민을 하다가... 토요일 아침 일찍 나가서 두 곳을 모두 구경하기로 했다.^^ 오전에 방문한 앤틸롭밸리 캘리포니아파피 보호구역(Antelope Valley California Poppy Reserve)의 주황색 꽃밭은 전편에 소개를 했고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오후에는 더 북쪽으로 올라가서 노란색 야생화들을 보러 갔다.


땅에서 석유를 퍼올리는 '메뚜기' 펌프들이 가득한 타프트(Taft) 마을을 지나서, 58번 도로로 템블러(Temblor) 산맥을 넘어가면 봄철 노란 야생화로 유명한 카리조플레인 내셔널모뉴먼트(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가 나온다. (공원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와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서 3년전 이 곳의 첫번째 여행기를 보시면 됨)


LA에서 3시간 거리인 여기를 찾은 최대 목적은 바로... 2년전에 퀵실버님이 '초현실적 야생화'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소개해주셨던 (여행기는 여기를 클릭), 비포장도로인 엘크혼로드(Elkhorn Road)를 남쪽으로 약 9 km 달려 구글맵에 "Palette Parking"이라고 되어있는 여기서부터 뒤쪽의 '물감 팔레트'같은 언덕으로 올라가 여러 색깔의 야생화들이 함께 피어있는 것을 구경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옆의 다른 차 위로 반짝이는 안내판이 있었으니...


사유지(Private Property)이므로 주차를 금지한다는, 만든지 정말 얼마되지 않은 것 같은 반짝반짝하는 표지판이었다! 흑흑~


트레일이 시작되는 문에도 '출입금지(No Trespassing)' 표지판과 함께 자물쇠가 채워져 있어서, 이렇게 문 앞에서 사진을 찍는 것으로 만족하고 돌아서야 했다. (우리 외에도 2~3대의 자동차가 더 있었지만 아무도 안내를 무시하고 안쪽으로 들어가는 사람은 없었음)


아쉬운 마음에 주황색, 보라색, 노란색, 그리고 녹색 물감이 어우러진 팔레트 언덕을 줌으로 당겨봤다. 공원지도를 보면 지금 주차한 곳에서 언덕 아래까지는 사유지가 맞지만, 저 너머 울긋불긋 꽃동산은 연방정부 국토관리국(Bureau of Land Management) 땅이었는데 말이야... 위기주부가 로또에 당첨되면 이 땅을 사서 새로 표지판을 세우고 싶다. "Private Property, BUT You're Welcome"


팔레트 언덕을 못 올라갔기 때문에 예상보다 시간이 남아 Elkhorn Road를 돌아 나오면서, 3년전에 방문했을 때 들리지 못했던 장소인 월리스크릭(Wallace Creek)을 찾아 짧은 트레일을 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지혜가 열심히 읽고있는 안내판의 내용을 직접 보실 수 있도록 준비했는데,


미서부 지역 대지진의 원인이 되는 샌안드레아스 단층(San Andreas Fault)이 어긋나면서, 왼쪽 그림처럼 단층을 가로질러서 직선으로 흐르던 개울의 물줄기가 꺽여져서 흐르게 된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란다. (클릭해서 원본보기를 하시면 읽으실 수 있음)


샌안드레아스 단층을 관찰하려고 높은 곳으로 올라갔더니 노란 언덕들이 가까이 보여서 일단 사진 한 장 찍고...^^


뒤를 돌아 설명판이 있던 곳을 내려다 보면 이렇게 Z자 모양으로 꺽여서 흐른 Wallace Creek의 모습을 볼 수 있다. Z자 모양 개울의 가운데 비스듬한 선이 샌안드레아스 단층의 경계면으로, 지금 서있는 북아메리카 판(North American Plate)을 기준으로 단층 왼편의 태평양 판(Pacific Plate)의 땅이 평균적으로 1년에 약 3.4 cm씩 북쪽으로 이동을 하고있는 것이다. 그래서 약 2천만년 후에는 태평양 판에 있는 로스앤젤레스와 북아메카 판에 있는 샌프란시스코가 서로 마주보고 있을거라나~


2천만년 후의 걱정은 됐고... 노란 언덕 위로 하늘도 참 파란 봄날이었다.^^


다시 주황색 양산을 쓰고 주차장으로 걸어가고 있는 모습인데, 약간 물이 고인 부분과 하얀 소금밭이 섞여있는 소다레이크(Soda Lake) 너머로 보이는 노란 들판은 3년전에 아내와 둘이 왔을 때 구경을 했던 야생화 벌판으로 여기를 클릭하시면 그 때 사진들을 보실 수가 있다.


결국은 처음 58번 도로로 산맥을 넘어와서 세븐마일로드(Seven Mile Rd)가 갈라지는 이 곳에 차를 세우고, 노란 야생화를 잠시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노란 꽃동산을 즐기고 있는 행복한 다른 가족~


우리는 그냥 많이 올라가지 않고 도로변에서 사진을 찍었다.


이미 다른 사람들이 밟고 들어간 자국을 따라서, 최대한 조심스럽게 조금 안쪽으로 들어가봤다.


콘택트렌즈를 끼고 첫번째 외출을 하신 아가씨~ 사진 찍을 때 눈을 감아도 되는 선글라스의 편리함에 감탄하시는 중!^^


빨간색 STOP 표지판을 촬영소품으로~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언덕 전체가 노란 야생화로 덮여 있는데, 보라색 꽃들도 제법 많이 피어있었다. 매년 봄이면 여기 카리조플레인(Carrizo Plain) 준국립공원의 노란 야생화들이 또 생각이 나겠지만, 아마도 다음 번에 다시 여기를 찾을 때는 훨씬 남쪽에서 템블러 산맥을 넘어가는 비포장도로인 허리케인로드(Hurricane Road)를 달릴 수 있을 때가 아닐까 기대해본다.



토팡가(Topanga) 주립공원의 캐서드랄락(Cathedral Rocks)과 테메스칼피크(Temescal Peak) 하이킹

$
0
0

우리집에서 101번 프리웨이를 타고 서쪽으로 조금 달리면 밸리지역에서도 부자동네로 유명한 마을인 타자나(Tarzana)가 나온다. 이 특이한 마을의 이름은 우리가 다 아는 '정글의 왕' 타잔(Tarzan)에서 유래했는데, <타잔>을 쓴 소설가 Edgar Rice Burroughs가 1919년에 이 지역의 목장을 사서 '타자나 랜치(Tarzana Ranch)'로 부른 것이 그 기원이라고 한다.


타자나 마을의 럭셔리 주택단지들이 좌우로 있는 Reseda Blvd 도로를 남쪽 끝까지 달려오면, 오늘 트레일이 시작되는 곳인 마빈브라우디 멀홀랜드 게이트웨이 파크(Marvin Braude Mulholland Gateway Park)라는 긴 이름의 공원이 나온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지만, 이 공원 자체는 주택가를 둘러싼 녹지가 대부분이고...


조금만 걸어가면 바로 익숙한 이름의 토팡가 주립공원(Topanga State Park)으로 들어서게 된다. 아마도 위기주부 블로그에 제일 많이 등장한 캘리포니아 주립공원 이름으로 생각되는데, 지금까지와 가장 큰 차이점은 처음으로 주립공원의 북쪽 입구로 들어간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는 LA에서 야경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한 이름인 멀홀랜드 드라이브(Mulholland Drive)를 만나는데, 405번 프리웨이 동쪽의 헐리우드 뒷산과는 달리 여기 405번 서쪽은 대부분이 비포장으로 일반차량은 통행이 제한되는 산악 소방도로(fire road)이다. 여기서 서쪽으로 우회전해서 0.3 마일을 걸어가면,


테메스칼리지 트레일(Temescal Ridge Trail)이라는 또 다른 소방도로를 만나서, 본격적으로 남쪽으로 향하게 된다. (비포장도로와 표지판들 사진만 계속 나오는 정말 역대급으로 재미없는 하이킹 포스팅...^^)


부지런히 30분 정도 걸어가니, 정면으로 오늘의 첫번째 목적지인 캐서드랄락(Cathedral Rocks)이 보이기 시작했다.


'대성당바위' 직전에 허브정션(Hub Junction)이라 불리는 간이 화장실도 있는 쉼터가 먼저 나오는데, 토팡가 주립공원의 여러 트레일들이 서로 연결되는 중심 교차로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여기서 갈림길을 따라 서쪽으로 0.8 마일만 가면 2011년에 우리 가족만, 2013년에는 여러 가족이 함께, 공교롭게 두 번 모두 크리스마스 하이킹을 했던 바위산인 이글락(Eagle Rock)이 나오는데 (연도를 클릭하면 각각의 여행기를 보실 수 있음), 두 번이나 가 본 곳이고 사진 찍어줄 사람도 없고 해서... 그냥 남쪽으로 계속 내려가기로 했다.


토팡가 주립공원은 위의 지도에 표시된 산타모니카마운틴 국립휴양지(Santa Monica Mountains National Recreation Area)의 일부분으로, 지도에 굵은선으로 표시된 전체 길이 109 km의 백본트레일(Backbone Trail)이 윌로저스(Will Rogers) 주립역사공원에서 시작해 주립공원을 서쪽으로 지나간다. 그 다음 백본트레일은 지난 겨울 막심한 산불피해를 겪은 말리부크릭(Malibu Creek) 주립공원카스트로크레스트 트레일(Castro Crest Trail)을 지나 벤츄라카운티로 들어가서, 서클엑스랜치(Circle X Ranch)와 산맥의 최고봉인 샌드스톤피크(Sandstone Peak)를 거쳐, 포인트무구(Point Mugu) 주립공원에서 바다와 만나며 끝난다.


캐서드랄락을 배경으로 자전거를 타고 오는 커플인데, 이 곳의 비포장도로들은 산악자전거 코스로 아주 애용된다.


남쪽으로 산타이네즈(Santa Ynez) 폭포, 테케스칼캐년(Temescal Canyon), 로스라이오니스(Los Liones) 트레일, 스컬락(Skull Rock)등을 내려다보는 테케스칼 봉우리(Temescal Peak)는 여기서 소방도로를 벗어나 왼쪽 오솔길로 들어가면 된다는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을 놓쳐서 조금 가다가 다시 돌아서 나왔다.


정상은 놓쳤지만 대신에 로스앤젤레스 시가지쪽으로 사진 한 장은 건졌는데, 오른쪽은 베벌리힐스 옆 센츄리시티(Century City)의 고층건물들이고, 왼쪽 저 멀리 LA 다운타운의 고층건물들도 보인다.


트레일을 돌아나오면서 캐서드랄락(Cathedral Rocks) 바위에 잠시 올라가봤다. 강아지를 데리고 역시 혼자 하이킹을 온 저 분의 왼편에 있는 바위에는 구멍도 뚫려있는데, 이 사진에서는 잘 표시가 나지 않는다.


주차장으로 돌아와서 곧 떨어지는 해를 배경으로 찍은 공원 안내판인데, 32년 동안 LA 시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산타모니카 산맥의 자연보호에 앞장섰다는 마빈 브라우디(Marvin Braude)의 흑백사진이 살짝 보인다.


이번에 스마트폰에 처음 깔아서 사용해본 트레일앱(Trail app)인 가이아GPS(Gaia GPS)로 기록한 이 날 하이킹의 경로지도와 기록으로 링크를 클릭해서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지난 3월초에 블로그에 소개했던 '공식 트레일도 없는' 3차 오지탐험에 GPS가 꼭 필요해서 다운받은 앱인데, 그 전에 사용했던 맵마이하이크(MapMyHike)에 비해서 인터페이스는 정말 촌스럽지만, 사용하는데 익숙해지면 GPS와 나침반 기능은 더 나은 것 같았다.


저 아래쪽에 세워둔 차를 찾아서 내려가고 있는데, 한 참 떨어진 저 아래에만 차들이 많은 이유는 저기 노란색 경계선 위로는 $5의 주차비를 셀프로 내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도 오른쪽 스톱사인에 비디오 감시카메라가 있으므로... 혹시라도 포스팅을 보고 찾아가시는 분이 계시다면 꼭 3초간 정지했다가 출발하시기를 바란다~^^



스튜디오시티 앞산 윌에이커 공원(Wilacre Park)과 콜드워터캐년 공원(Coldwater Canyon Park) 하이킹

$
0
0

위기주부 가족이 LA 밸리지역의 스튜디오시티(Studio City)로 이사온 것도 3년이 다 되어간다... 그 동안에 동네 바로 앞에 있는 이 두 공원을 가보지 않은 것에 미안함이 들어서, 지난 토요일 오후에 혼자 후다닥 하이킹을 다녀왔다~


스튜디오시티의 중심가라고 할 수 있는 벤츄라(Ventura)와 로렐캐년(Laurel Canyon) 사거리에서 남쪽으로 조금만 달리면 오른쪽에 윌에이커 공원(Wilacre Park) 주차장이 나온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여기서부터 산타모니카 산맥(Santa Monica Mountains) 북쪽 사면을 따라서 올라가는 Betty B Dearing Trail이 시작되는데, 이 트레일 주변을 공원으로 보호하는데 앞장 선 단체의 대표였던 여성분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포장된 길을 따라서 주택가 사이를 올라가게 되는데, 코너의 나무 한 그루도 이렇게 잘 보존을 해 놓았다.


그 후 트레일의 대부분은 비포장의 넓은 소방도로로 산사면을 따라서 완만한 경사로 계속 올라가게 되는데, 특히 개를 데리고 산책을 나온 우리 동네분들이 많았다.


지난 겨울에 기록적으로 비가 많이 와서, 트레일 주변으로 온통 작은 노란꽃들이 가득했다. 그렇게 30분 정도 걸으면,


콜드워터캐년 공원(Coldwater Canyon Park)으로 바뀌면서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오른쪽 오크트레일(Oak Trail)로~


작은 야외원형극장과 함께 안내판이 잘 만들어져 있는 이 지역은 아래에 소개할 비영리 단체가 관리하는 곳이다.


콜드워터캐년 애비뉴(Coldwater Canyon Ave)의 입구로 나가니까 클래식카라고 부르기에는 약간 부족한 빨간 머스탱 스포츠카가 한 대 세워져 있었다.


스튜디오시티로 이사를 오기 전부터 수 없이 지나다녔던 콜드워터캐년과 멀홀랜드 드라이브(Mulholland Drive)가 만나는 곳을 처음으로 사진으로 찍어서 남겨본다~^^ 이 사거리에 좀 전에 말한 비영리 단체의 주차장 입구가 있다.


트리피플(TreePeople)은 도심녹화운동을 주로 하는 비영리 환경보호단체로 1973년에 Andy Lipkis라는 사람이 18살때 만들었다고 하는데, 지금까지 LA지역에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미국 최대의 과학/공학/의학분야의 자선단체 중의 하나인 W. M. Keck Foundation에서 지원을 한 온실 묘목장이다.


친환경으로 지어졌다는 멋진 컨퍼런스센터도 이 땅값 비싼 동네에 널찍하게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 사진 왼쪽에 보이는...


이 콘크리트 파이프 터널은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곳을 소개하는 사진에 자주 등장을 한다.


그 뒤쪽으로는 이렇게 인공으로 개울을 만들어 물이 졸졸 흘러가서...


여기 '오션(ocean)'으로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한 모퉁이에 막아놓은 곳에는 쓰레기가 가득해서 의아하게 생각이 되었는데, 떠있는 종이에 써놓은 것을 보니까 숲에 버려진 쓰레기는 결국 이렇게 바다까지 오염을 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일부러 만들어놓은 것이었다.


산불 위험지역이라서 공원에서 담배를 피거나 인화물질을 버리면 벌금은 딱 1천불이란다. 계단을 내려가면 다시 Betty B Dearing Trail과 만나서 계속 가면 2년전에 소개한 적이 있는 프라이맨캐년 공원(Fryman Canyon Park)까지 이어지는데 (포스팅을 보시려면 클릭), 종주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그만 돌아가기로 했다.


주차장으로 돌아가는 길은 능선을 따라가는 좁은 U-Vanu Trail로 또 루프를 만들었는데, 인디언 말인 것 같기도 한 '우-바누(U-Vanu)'라는 이상한 이름의 기원은 아무리 찾아봐도 모르겠다...


북쪽 아래로 1시간전에 내가 올라왔던 넓은 소방도로와 그 너머 스튜디오시티(Studio City)의 건물들이 보이고, 능선 남쪽으로도 고급주택들이 내려다 보여서 경치가 훨씬 좋았는데,


문제는 이 노란꽃이 핀 풀들이 너무 높이 또 많이 자라서, 그 사이를 헤치고 나가는 것이 힘들었다. 특히 꽃가루도 많이 날려서 알레르기가 있으신 분은 이 U-Vanu Trail은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래도 파란 하늘 아래 한적한 노란 꽃길을 걷는 매력을 느끼며 주차장으로 돌아갔다. 1시간반 트레일의 경로는 여기를 클릭해서 가이아GPS 사이트에서 보실 수 있으며, 사실 여기도 산타모니카마운틴 국립휴양지에 속하는 공원이기는 한데, 이 내용은 바로 다음날 일요일에 찾아간 다른 공원의 산행기에서 지도와 함께 설명을 해드릴 예정이다.



산타모니카산맥 국립휴양지의 동쪽 끝에 있는 헐리우드의 뒷산, 런연캐년 공원(Runyon Canyon Park)

$
0
0

산타모니카 산맥(Santa Monica Mountains)은 태평양 연안을 따라 동서로 약 64 km를 뻗어있으며, 산맥의 동쪽 1/3은 LA 광역도시지역(Los Angeles metropolitan area)을 관통하고 있다. 거의 세계에서 유일하게 대도시의 중심까지 이어지는 산맥이라는 지정학적 특징과, 또 수 많은 '앤젤리노(Angeleno)'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숲과 해변을 포함하는 경제적 중요성으로, 미국 연방정부에서 1978년에 당시 사유지가 아닌 땅 대부분을 산타모니카마운틴 국립휴양지(Santa Monica Mountains National Recreation Area, SMMNRA)로 지정을 하였다.


위는 SMMNRA 공식지도 오른쪽 끝부분만 잘라낸 것으로 게티박물관(Getty Museum) 바로 옆을 지나는 405번 프리웨이 동쪽에 국립휴양지로 지정된 공원들을 보여주고 있다. 프랭클린캐년(Franklin Canyon) 공원, 윌에이커(Wilacre)와 콜드워터캐년(Coldwater Canyon) 공원, 프라이맨캐년(Fryman Canyon) 공원은 이미 소개를 했고, 이제 가장 동쪽에 있는 런연캐년 공원(Runyon Canyon Park)를 소개할 차례이다. (산타모니카 산맥은 101번 프리웨이 건너 천문대가 있는 그리피스 공원과 야구장이 있는 엘리시안 공원까지 이어진 후 LA강을 만나서 끝남)


집에서 15분 정도 운전해서 멀홀랜드 드라이브(Mulholland Drive)에 있는 런연캐년 공원의 북쪽 입구에 도착을 했다. (구글맵으로 지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여기는 이 공원의 여러 입구중에서 유일하게 주차장이 만들어져 있어서, 비록 비포장이기는 하지만 30여대 주차가 가능하다. 제일 왼쪽 표지판 왼편으로 공원을 종단하는 포장도로인 Runyon Canyon Rd가 있고, 사진 가운데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West Ridge Trail의 입구가 보인다.


웨스트리지 트레일(West Ridge Trail)로 들어가는 철문 옆으로 공원 간판이 세워져 있는데, 런연캐년 파크(Runyon Canyon Park)는 1984년에 별도의 공원으로 지정되어서 현재 LA시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사람들 따라서 5분여를 열심히 걸어 올라왔더니, 더 이상 길이 없어보이는 정상(?)에 도착을 했다. 포스팅을 쓰면서 확인해보니 여기는 인디언락(Indian Rock)이라는 해발 402 m의 봉우리로 이 공원에서 제일 높은 곳이었다.


문제는 여기서는 저 아래 정면에 보이는 송전탑이 서있는 능선코스로 내려가는 길이 없다는 것... 올라왔던 길을 절반쯤 돌아서 내려가다가 지나쳤던 삼거리에서 우회전을 해 내려갔다.


오른쪽으로 으리으리한 저택들이 나오는 여기는 공원 경계를 살짝 벗어난 곳인데, 여기서부터 저 아래 송전탑까지는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나무계단과 보드워크로 잘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송전탑을 지나서 보이는 봉우리로 올라가는 길은...


경사와 난이도가 제법 심했다~ 사진 가운데 올라는 분은 다리 짧은 강아지를 끌고 올라가시는 중인데, 만약 가볍게 산책할 생각으로 런연캐년을 방문했다면 West Ridge Trail은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구글지도에는 'Runyon Canyon Flag'라고 표시되어 있는 봉우리인데, 깃발은 없고 대신에 자동심장충격기, AED(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 만큼 저 빨간옷을 입은 분이 올라오는 길도 경사가 급하다는 뜻...^^ 그 너머로 헐리우드의 빌딩들과 멀리 스모그에 가린 다운타운이 보이는데, 저 쪽은 나중에 루프로 돌아서 올라오는 East Trail에서 더 가까이 보이게 되므로 그 때 다시 소개를 하자.


서쪽 능선이 끝나는 곳에서 정남향 고층건물 앞쪽으로 마치 한국의 아파트같은 건물들이 보인다. 사진에 보이는 18개의 13층 아파트와 그 옆으로 있는 31개의 2층 건물로 총 4,255세대가 거주하는 파크라브레아(Park La Brea)는 단일규모로 LA는 물론 미서부 전체에서 최대의 주거단지라고 한다. (옛날 플러튼에서 베벌리힐스 이사갈 때 저 곳도 알아봤었음^^)


산을 다 내려와서 포장도로와 만나 조금 걸어내려오면, 먼저 지금 등지고 서있는 남서쪽 출입구인 Vista Entrance가 나온다. 그리고 조금 더 내려가면 넓은 공터를 지나 풀러애비뉴(Fuller Ave)의 공원정문으로 나가게 된다.


정문의 철문에도 그림과 함께 RUNYON CANYON 글자를 새겨놓았는데, 산타모니카 산맥의 주능선에서 헐리우드까지 걸어서 내려온 것이다. 여기서 헐리우드 관광지까지 걸어갈 수도 있는 거리이지만, 해가 지기 전에 다시 차를 세워둔 북쪽 입구까지 또 올라가야 하는 관계로... 정문 사진만 찍고 다시 공원으로 입장~^^


공원 동편의 이스트 트레일(East Trail)은 여기 인스피레이션 포인트(Inspiration Point)를 지나면서 또 급경사를 올라가게 된다.


급경사에는 나무계단을 박아놓았는데, 발 딛는 곳에 나무들이 파진 것을 보면 LA 시민들이 참 오랫동안 많이 이용하는 공원 하이킹 코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타의 거리' 헐리우드 블러바드(Hollywood Blvd)를 따라서 세워진 건물들과 오른편 멀리 LA다운타운의 고층빌딩들이 보인다. 왼쪽 아래로 살짝 의외의 기와지붕이 보이는데, 헐리우드를 내려다보는 전망이 좋기로 유명한 일식집 야마시로(Yamashiro)라고 한다.


능선 트레일 바로 아래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철조망을 약간 무섭게 설치를 해놓았는데, 여기도 '사랑의 자물쇠'를 채워놓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오른쪽에 보이는 저것은 사랑의 신다버린 운동화인가?


East Trail의 메인 전망대인 클라우드레스트(Cloud's Rest)로 올라가는 마지막 구간이다. (요세미티 국립공원에도 하프돔을 내려다 보는 같은 이름의 봉우리가 있음^^) 웃통을 벗고 뛰어내려오는 한 몸매 하시는 남자분을 포함해 일요일 오후에 많은 사람들이 이 공원을 찾았는데...


헐리우드의 바로 뒷산이라서 운동 나온 '셀레브리티(celebrity)'들을 자주 볼 수 있다고 위키피디아에도 씌여있고, 또 아빠가 여기 다녀왔다니까 지혜의 첫마디도 영화배우 봤냐는 질문이었는데... 그렇다면 이 분들 중에 혹시 영화배우가 있다는 것인가?


북서쪽으로는 멀리 헐리우드 사인이 보이고, 가까이 헐리우드하이츠(Hollywood Heights) 언덕의 고급주택들이 자리잡았다.


이 후로는 공원종단 포장도로인 Runyon Canyon Rd를 다시 만나서 편안하게 걸어가면 되는데, 중간에 왼쪽으로 이런 거대한 철문이 나온다! 지도로 확인을 해보니 공원 한가운데에 사유지로 남아있는 주택의 정문이었다. 누구 집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잠시 후에 오른쪽으로 나오는 이 건물의 이름은 런연랜치(Runyon Ranch)로, 1919년에 여기 런연캐년의 땅을 사들인 동부 출신의 사업가 Carman Runyon의 목장이 있던 곳이라고 한다.


그리고는 조금 더 걸아 차를 주차해둔 북쪽 입구 Mulholland Entrance로 나가면, 전체 길이 약 3.5마일의 '런연캐년 완전정복 루프트레일'이 끝나게 된다. (여기를 클릭하면 가이아GPS 앱으로 기록한 이 날의 하이킹 코스를 보실 수 있음)


링크 클릭하는 것 귀찮아 하시는 분들을 위해 입구 안내판의 지도를 사진 찍어 보여드린다.^^ 여기 빨간색으로 표시된 트레일을 한 바퀴 돈 것으로 사진 찍은 포인트들이 다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설명드리면, LA지역 대부분의 공원은 개를 데리고 산책할 때 반드시 목줄을 하게 되어 있는데, 여기는 지도에 표시된 것처럼 위아래 입구 부근을 제외하고는 목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진보적인 "off-leash"정책으로 운영된다.




냉전시대 나이키미사일 레이더기지가 있는 웨스트리지-캐년백(Westridge-Canyonback) 공원 하이킹

$
0
0

산타모니카 산맥을 남북으로 넘어가는 405번 프리웨이의 바로 서쪽으로는, 1960년대 미소 냉전시대에 군사시설이었던 곳이 지금은 전망대로 만들어진 샌비센테 마운틴파크(San Vicente Mountain Park)가 있다.


405번 프리웨이 위를 고가도로로 건너온 멀홀랜드 드라이브(Mulholland Drive)가 비포장으로 바뀌는 여기 Upper Canyonback Trailhead 주차장에서 하이킹을 시작한다. 자전거들이 향하는 멀홀랜드 길의 게이트가 열려 있어서 차로 더 들어갈 수도 있었지만,


어차피 위와 같은 루프트레일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기 때문에 굳이 비포장 도로를 더 운전해서 들어갈 필요가 없었다. (가이아GPS 앱으로 이 날의 하이킹을 기록한 것으로 여기를 클릭해서 고도와 이동속도 등의 상세 데이터를 보실 수 있음)


15분 정도 멀홀랜드 드라이브를 걸으면 여기까지 들어온 차들이 세워져 있고, 산악자전거를 타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 나왔다. 여기서 왼쪽으로 W Mandeville Fire Rd가 갈라지는데 그 입구가 범상치 않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입구 왼쪽에 초소(sentry post)까지 만들어져 있는 LA96C 기지는 1956~1968년 동안에 미본토를 침공하는 소련 폭격기 탐지와 격추용 나이키미사일(Nike Missile)의 제어를 위한 레이더기지가 있던 곳이다.


나이키미사일 발사대는 북쪽 산아래 세풀베다 베이슨(Sepulveda Basin)에 있었지만, 적기 탐지와 미사일 유도 등을 위한 통제센터가 여기 샌비센테(San Vicente) 산의 해발 599 m 정상에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레이더는 철거되고 타워 위에 전망대를 잘 만들어 놓았다.


"너희를 묻어버리겠다!" 1956년 당시 소련 공산당서기장 후르시초프가 했다는 "WE WILL BURY YOU."이 말은, 작년 여름에 방문했던 미국 핵미사일 발사기지의 전시장에도 큼지막하게 씌여있었는데 (여기를 클릭하면 여행기를 보실 수 있음), 당시 미국과 소련의 냉전(Cold War)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망대에 올라오면 북쪽으로 조금 전에 들어온 초소가 세워진 입구가 보이고, 산 아래로는 엔시노 저수지(Encino Reservoir)가 보인다. (오른편에 보이는 안테나는 최근에 통신용으로 세워진 것으로 생각이 됨)


남쪽으로는 맨더빌캐년(Mandeville Canyon)의 서쪽능선(Westridge)을 따라서 이어지는 이제 걸어갈 트레일이 보인다.


1960년대까지 미국 해안가 대도시 주변에 이러한 방공망 레이더기지가 촘촘하게 설치되었지만 (LA지역에만 16곳이 있었다고 함), 미국과 소련 모두 대륙간탄도미사일(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을 실전에 배치하면서부터, 적 항공기 격추를 위한 이러한 시설은 더 이상 필요가 없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부터 나머지 트레일 코스는 모두 웨스트리지-캐년백 야생공원(Westridge-Canyonback Wilderness Park)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바로 서쪽에 인접한 토팡가 주립공원과 합쳐서 '빅와일드(Big Wild)'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구글지도에 'Lungta Tree'라고 표시된 나무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서 캐년으로 내려가는 삼거리를 지나서 찾아왔다. 룽타(lung ta, 룽따)는 티벳에서 기도문을 적어서 나무에 걸어놓는 천을 말하는 것으로 한국의 성황당에 깃발을 걸어두는 것의 유래라고 한다.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이 나무가 영험한 '서낭당 나무'라고 할 수 있겠다. 찾아갔을 당시에는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지만, 언덕 위에 홀로 뿌리를 드러내놓고 있는 모습이 범상치가 않아서 소원 한 번 빌고는 삼거리로 다시 돌아갔었다.^^


마을이 있는 캐년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갈라지는 삼거리로 돌아와서, 이제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송전탑을 따라서 만들어진 이 비포장도로의 이름은 Water and Power Pole Rd였는데, 공교롭게도 마을로 내려가는 길에 LA수도전력국(Los Angeles Department of Water and Power, LADWP)의 주의표시가 세워져 있었다.^^


브렌우드(Brentwood)의 선셋 대로(Sunset Blvd)부터 여기까지 5마일 이상 계곡따라 이어지는 Mandeville Canyon Rd는 LA에서 '가장 긴 막다른 도로(the longest paved, dead end road)'라고 하는데, 그 길을 따라 좌우로 이렇게 집들이 있는 정말 깊은 산속의 마을로 내려가는 것이다.


마을의 Garden Land Trailhead로 나가서 조금 아래쪽에 있는 여기 Hollyhock Trailhead로 다시 공원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언덕을 다 올라오면 다시 능선을 따라 남북으로 이어진 넓은 캐년백 트레일(Canyonback Trail)을 만나고, 근처 저 언덕에 또 구글지도에 'Canyonback Cairn'이라는 표시가 있어서 저기까지만 올라가보기로 했다.


정상에는 분명 '돌탑(cairn, 케른)'을 쌓았던 흔적은 있었는데 지금은 무너지고 없었다. 대신에 동쪽 아래로 저 멀리...


405번 샌디에고 프리웨이(San Diego Fwy)가 산타모니카 산맥을 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위쪽에 보이는 고가도로가 처음 말했던 멀홀랜드 드라이브(Mulholland Dr)이고, 아래쪽 고가도로는 스커볼센터 드라이브(Skirball Center Dr)이다. 저 길로 나가면 있는 유대인의 문화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라는 스커볼 문화센터(Skirball Cultural Center)도 언제 한 번 구경을 가봐야겠다.


그리고, 메마른 땅에 예쁘게 피어있는 이 야생화들을 좀 구경하다가는 북쪽에 하이킹을 시작한 곳으로 향했다.


산타모니카 산맥 주능선 꼭대기의 으리으리한 대저택들을 구경하며 주차장으로 돌아가서, 그 너머로 흐릿하게 보이는 우리 옆동네 셔먼옥스(Sherman Oaks)의 단골 인앤아웃버거(In-N-Out Burger)에서 더블더블과 감자튀김을 토요일 늦은 점심으로 드라이브-스루(drive-thru) 투고해서 집으로 돌아갔다.



게티센터(Getty Center)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벨에어(Bel Air)의 게티뷰파크(Getty View Park) 하이킹

$
0
0

먼저 제목만 보고 LA 게티센터의 '전시물'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방법을 기대하고 클릭하신 분이 계시다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아래의 사진과 글은 게티센터의 외관 건물을 멀리서 잘 볼 수 있는 하이킹 코스에 대한 내용이라서...^^


벨에어에 있는 게티뷰 공원(Getty View Park)의 트레일이 시작되는 남쪽 입구의 모습이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오른쪽 갈색의 Santa Monica Mountains Conservancy Parkland간판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도 산타모니카 산맥이기는 하지만, 국립휴양지로 지정된 공원은 아니다.


보통 LA에서 '부촌'이라고 하면 위기주부도 주소를 둔 적이 있는 베벌리힐스(Beverly Hills)를 떠올리지만, 진짜 부자들의 으리으리한 대저택들이 모여있는 곳은 그 옆의 홈비힐(Holmby Hills)과 위의 지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벨에어(Bel Air) 지역으로, 이제 하이킹을 하는 Getty View Park는 그 부자동네에서 외부인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벨에어 북쪽에 파란색과 녹색으로 표시된 Stone Canyon Reservoir는 상수원 보호구역이라서 출입불가)


하이킹이 시작되는 곳 바로 옆에 405번 고속도로 아래로 해서 들어가는 게티센터의 입구가 있고, 뒤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트램이 올라가는 왼쪽 언덕 위에 The Getty, 게티센터의 모습이 보인다. "건물 모습도 잘 안 보이는구만..."불평하시는 분을 위해서, 다시 이리로 돌아올 때 망원렌즈로 바꿔서 찍은 사진으로 아래에 보여드릴 예정이다.


여기도 노란색 들풀이 E Sepulveda Fire Rd 트레일 좌우로 많이 피어있는데, 하이커들 위쪽으로 까맣게 타버린 죽은 나무들이 듬성듬성 보인다. 약 2년 전인 2017년 겨울에 난 산불로 이 공원 거의 전체가 모두 타버렸기 때문이다.


당시 405번 고속도로를 남쪽으로 달리던 자동차에서 찍은 동영상을 클릭해서 보실 수 있으며, 유튜브에서 '405 Fire' 또는 'Skirball Fire'로 검색하면 다른 운전자들이 찍은 것도 찾아보실 수 있다.


산사면을 따라 북쪽으로 걸어갈 수록 고도가 조금씩 올라가기 때문에, 중간쯤에서 돌아보니까 게티센터 너머 바다도 보인다.


405번 프리웨이 건너편 서쪽으로는 마운틴게이트 골프장(MountainGate Country Club)을 내려다 보는 고급 주택단지가 보이는데, 사진 오른쪽에 멀리 보이는 산들은 전 주에 하이킹을 다녀온 Westridge-Canyonback Wilderness Park로 여기를 클릭하면 포스팅을 보실 수 있다.


30분 정도를 걸으면 육중한 철문 뒤로 하얀색 큰 건물이 나오면서 트레일이 갑자기 끝난다. 저 철문에는 지금까지 하이킹을 하면서는 본 적이 없는...


이런 키패드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아예 출입이 불가능한데, 이유는 이 안쪽이 벨에어크레스트(Bel Air Crest)라는 게이트 주택단지로 외부인의 출입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돌아서서 소방도로 옆의 작은 언덕에 올라 철문 너머의 주택단지를 내려다 봤다. 왼쪽의 하얀색 건물은 개인주택 같지는 않고, 아마도 이 럭셔리 주택단지의 공용시설이 있는 사교장이 아닐까 생각이 된다.


언덕에서 남쪽으로 망원렌즈의 줌을 당겨보니, 게티센터 너머 태평양 바다에 떠있는 카탈리나 섬(Catalina Island)까지 선명하게 보였다. (5년전 카탈리나 섬 여행기는 여기를 클릭해서 보실 수 있음)


405번 서쪽 건너편 산 위의 골프장과 멋진 언덕 위의 집들도 줌으로 한 번 당겨보고,


이 집은 동쪽 Moraga Canyon 건너편의 산 꼭대기를 다 차지하고 지어진 동서남북 전망이 다 나오는 멋진 저택이다.


그 아래 능선을 따라서 지어진 벨에어 주택들 너머로는 멀리 LA 다운타운의 고층건물들까지 실루엣으로 보였다.


산자락이 끝나는 남쪽으로는 UCLA가 있는 웨스트우드(Westwood) 지역의 건물들이 가까이 있다.


사방을 둘러봐도 역시 가장 멋지게 카메라에 잡히는 대리석으로 지어진 게티센터 건물의 전체 모습이다.^^


약 1시간의 왕복 하이킹을 마치고, 왼쪽 끝에 위기주부의 차가 보이는 트레일을 시작한 곳으로 돌아왔다. (여기를 클릭하면 가이아GPS 앱으로 기록한 코스를 보실 수 있음) 405번 프리웨이의 소음만 제외하면 가볍게 1시간 정도 산책하기에는 좋은 코스였다.


마지막으로 제목에 충실한 포스팅이 되기 위해서, 게티센터 건물의 디테일이 잘 보이도록 사진 한 장 찍어봤다. 실제 게티센터 방문기는 이미 여러 차례 올렸지만, 정말 블로그 초기에 작성했던 첫번째 글만 여기에 링크하니까 클릭해서 보실 수 있다.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 또는 남가주대학교) 후다닥 둘러보기

$
0
0

지난 주말에 LA 다운타운 남쪽에 있는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또는 한자어로 번역해서 남가주대학교(南加州大學校)라 자주 불리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를 잠시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마침 이 날 오전에 졸업식이 있어서, 오후까지 W Jefferson Blvd 입구의 학교 이름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여기 북쪽 입구가 USC의 정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갈색 직육면체의 고층건물이 약간은 생뚱맞은 느낌을 준다~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는 1880년 로스앤젤레스의 판사 로버트 위드니(Robert Widney)가 주도해서 설립한 사립대로, 현재 20여개의 대학과 대학원에 약 2만명의 학부생과 2만7천명의 대학원생이 다니고 있는 대규모 종합대학교이다.


정문을 지나서 남쪽으로 걸어 내려오면, 이 대학교의 가장 유명한 상징물 조각이 세워진 광장이 나온다.


토미 트로얀(Tommy Trojan)은 투구를 쓰고 방패와 칼을 든 트로이(Troy) 병사로 USC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캐릭터이지만, 의외로 대학교의 공식 마스코트는 이 광장 건너편에 세워져 있는...


누군가를 기념하는 것 같은 이 빨간 시계탑은 마스코트가 아니고...^^


이 하얀 말 트래블러(Traveler)가 USC의 공식 마스코트라고 한다. 그래서 미식축구 등의 경기가 있을 때는 트로이 병사가 실제 하얀 말을 타고 등장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USC 대학교의 상징색은 진홍색(cardinal)과 황금색(gold)으로 아주 화려하다.


계속 남쪽으로 걸어가면 또 다른 USC 비공식 마스코트의 동상이 나오는데, 1940년대에 대학교 안을 떠돌아 다니던 개인 George Tirebiter로 자동차 타이어를 물어뜯고 다녀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다시 중앙광장으로 돌아오면 바로 서편에 학교투어가 시작되는 건물인 Ronald Tutor Campus Center가 있다.


이 건물 2층에 Admission Center 안내소에서 입학관련 문의를 할 수 있으며, 학교투어도 여기 로비에서 시작하게 된다.


건물 입구에 걸려있던 커다란 천으로 만든 그림인데, 배경으로 사용된 여러 언어들 중에서 제일 아래쪽에 한자와 갑골문자(?)가 눈에 띄었고, 무엇보다도 그림 속의 여러 학생들 중에서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고 문자를 보내는 사람이 4명이나 된다는 것이 참 신기했다.


넓은 캠퍼스를 다 돌아볼 생각은 처음부터 없었고, 이 대학교 출신으로 위기주부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의 흔적만 한 번 찾아보기로 했다. (지금 중앙광장은 지도 가운데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음)


음악대학에 있는 존윌리엄스 작곡실(The John Williams Scoring Stage)로 스타워즈, 인디애나존스 등의 영화음악을 만들어서 당연히 좋아하지만, 존윌리엄스는 이 대학이 아니라 이웃한 UCLA와 유명한 뉴욕 줄리아드(Juilliard School)에서 공부했다. (멀리서나마 존윌리엄스를 직접 영접한 포스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음대를 지나서 나오는 여기 영화대학(The School of Cinematic Arts) 건물을 새로 만드는데, 약 2천억원을 한 번에 기부한 사람이 바로... 위기주부가 광팬인 영화 스타워즈(Star Wars) 시리즈를 만든, USC 영화학과를 나온 조지루카스(George Lucas)이다.


영화산업의 발상지인 LA 헐리우드(Hollywood)와 가까이 있는 이유로, USC는 1929년에 미국 최초로 영화 강의를 개설해서 1935년에 영화학과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앞서 언급한 조지루카스를 비롯해, SF말고 다른 영화는 잘 모르는 위기주부에게도 익숙한 Ron Howard, Robert Zemeckis 등의 감독들이 이 학교 출신이라고 한다.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보기를 하시면 직접 내용을 보실 수 있음)


입구부터 영화사같은 USC 영화대학은 지금도 헐리우드 아카데미와 영화사들과 협력해서 미국 최고의 영화 제작자와 감독들을 배출하는 명문이라서, 지원자 합격률이 4~6%에 불과하다고 한다. (스티븐스필버그 감독도 USC 영화학과에 지원했었는데, 고등학교 내신이 너무 나빠서 떨어졌다고 함)


대학교 구경은 이 정도로 짧게 마치고, 북쪽 제퍼슨 대로 건너편에 있는 학교 기숙사 USC빌리지(USC Village)로 왔다.


5층짜리 기숙사 건물 6동에 모두 약 2,700명의 학부생이 거주하는 USC빌리지의 중앙 광장으로, 오른쪽에 세워진 동상은 트로이의 마지막 왕비인 헤쿠바(Hecuba)라 한다.


USC빌리지의 정문까지 걸어 나와서 주차한 차로 돌아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돌아본 모습으로, 약 2년전인 2017년 여름에 오픈을 한 최신의 기숙사 타운으로 공사비만 총 7억불이 들었다고 한다.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는 최근 몇 년간 이와 같은 대규모 시설투자와 학생유치로 인지도와 대학랭킹 등이 상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LA지역 대학교이다.



산타모니카 산맥의 칼라바사스피크(Calabasas Peak)와 레드락캐년(Red Rock Canyon) 루프 트레일

$
0
0

일교차가 심한 최근에는 계속 오후에만 잠깐식 근처 하이킹을 했었는데, 정말 오래간만에 토요일 이른 새벽에 집을 나섰다.


아니나 다를까... 트레일이 시작되는 도로변에 차를 세웠는데, 안개인지 구름인지 10 미터 앞도 잘 보이지가 않고, 부슬비까지 내리는 느낌이었다. 새벽 드라이브 한 셈 치고 그냥 집으로 돌아갈까 잠시 고민했지만... 계획대로 씩씩하게 출발~^^


빨간색 경로의 제일 위에 표시된 Old Topanga Cyn Rd와 Summit to Summit Mtwy가 만나는 곳에서 출발해 반시계 방향으로 한바퀴를 돌았는데, 근래에 들어서 가장 긴 거리에 오래 걸린 트레일이었다. (여기를 클릭하면 트레일 확대지도와 전체거리, 소요시간, 고도변화를 보실 수 있음)


개인 사유지로 들어가는 도로를 피해 'TRAIL' 표지판을 따라 좁은 오솔길로 조금 걸어가니, 칼라바사스 봉우리로 가는 길이라는 표지판이 나오고, 바로 다시 넓은 산악 소방도로인 Calabasas Peak Mtwy로 바뀌게 된다.


안개가 다 걷히지 않은 이른 아침에 야생화들이 피어있는 산길을 홀로 걷는 기분이 아주 좋았다. 사진에 하늘이 파란색으로 바뀌는 것처럼 조금씩 주변이 맑아진다는 느낌이 들다가,


동쪽을 바라보니 이렇게 아침안개를 뚫고 햇살이 비추고 있었다. "역시 포기 안하고 하이킹을 하길 잘 했군!"


시간이 지나서일까? 높이 올라와서일까? 수증기를 머금은 파란 하늘에 박힌 반달 아래로 오른쪽에 봉우리가 나타났다. 조금 더 걸어가다가 소방도로를 벗어나서 제법 경사가 있는 산사면을 약간 올라가서 정상에 도착을 할 수 있었다.


해발 659 m의 칼라바사스 봉우리(Calabasas Peak) 정상에는 거창한 표지판은 없었지만, 그래도 쇠기둥과 탄창박스(?) 그리고 지질조사국의 표식이라도 있어서 섭섭하지는 않았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쇠로 된 탄창박스 안에는 하와이의 여인과 곰돌이푸 수첩, 그리고 많은 사연들이 적힌 종이들이 들어있었다.


무엇보다도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운해 위로 떠오른 태양을 만날 수 있어서 감동이었다.


여기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동서로 지나가는 101번 고속도로와 칼라바사스(Calabasas) 마을의 주택단지, 그리고 바로 아래 Mulholland Hwy를 따라 들어선 집들이 보인다고 하는데... 아직은 대부분이 하얀 솜털 이불을 덮고 잠들어 있다.


이제 봉우리를 내려가 계속해서 Calabasas Peak Mtwy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구름이 다시 저 아래쪽 능선을 덮어버리고 있다. 구름을 뚫고 높이 올라와서 만난 이 날의 햇살은, 다시 저 속으로 들어가서는 트레일을 마칠 때까지 다시 볼 수 없었다.


다시 안개에 갇힌 산악도로를 하얀 개를 앞세우고 홀로 마운티바이크를 타고 올라오고 계신 여성분으로, 이 날 위기주부가 처음 마주친 개와 사람이다.


산을 제법 내려와서 나오는 삼거리에서 계속 직진하면 UCLA 스턴트랜치(Stunt Ranch)가 있는 Calabasas Peak Trail의 남쪽끝인데, 위기주부는 여기서 왼쪽 W Red Rock Rd를 따라서 레드락캐년(Red Rock Canyon) 쪽으로 내려간다. 그 전에 오른쪽 등받이 없는 나무 벤치에서...


한동안 잊고 지냈던 존뮤어(John Muir)를 우연히 만났다~^^ 혹시, 아직도 올여름 휴가계획을 정하지 못하신 분이 계시다면, 그리고 백패킹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올여름은 존뮤어와 함께 보내시는 것이 어떠실지?


          유니투어 2019년 존뮤어와 요세미티 (7/11~19일), 누가 휘트니를 오르는가 (8/13~22일) 참가자 모집


너무 흔한 이름이기는 하지만 Red Rock Canyon... '붉은 바위 협곡'으로 들어서면, 길의 흙도 불그스름해지며 멀리 이렇게 멋진 적갈색의 바위산들이 나타난다. 소방도로를 따라 10분 정도 내려가다가 쓰레기통이 있는 삼거리에서 좁은 트레일로 들어서면,


유카의 꽃대가 좌우에 가로등처럼 늘어선 멋진 트레일을 따라 바위산 사이사이로 다시 조금씩 위쪽으로 올라간다.


누군가 정성스레 돌로 만든 나선무늬는 그 돌들 사이로 풀들이 자라난 것을 보니 상당히 오래된 모양이다. 이 Red Rock Trail을 따라서는 작은 언덕을 넘어 다시 마을로 내려갈 때까지 다른 사람이라고는 전혀 만나지 못한 아주 한적한 트레일이었다.


인적이 드문 이유는 날씨와 시간 때문이기도 했지만, 이 쪽 트레일이 끝나는 Zuniga Rd가 사유지인 이유도 있는 것 같았다.


자동차가 다니는 Old Topanga Cyn Rd와 만나는 곳까지 걸어와서 찍은 도로 표지판인데, Zuniga Rd에는 '프라이빗(Private)'이라고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자동차가 다니는 올드토팡가 도로를 따라서 북쪽으로 1.5 마일을 걸어서 차를 세워둔 곳으로 가면 트레일이 끝난다.


여기 산 속 마을 올드토팡가(Old Topanga)는 말을 키우고 훈련하는 목장들이 많은데, 마술 장애물 경기코스도 만들어져 있던 곳에서 이른 아침부터 여성조련사가 말을 훈련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지혜의 고등학교 졸업식

$
0
0

사랑하는 우리 딸, 지혜야~ 고등학교 졸업을 축하한다! 앞으로 너에게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 아빠도 무척 기대가 된다.



Viewing all 77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